4/28(현지시간) 뉴욕증시가 GDP 쇼크에도 메타 등 빅테크 실적 호조 등에 급등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메타(+17.59%), 퀄컴(+9.69%)이 실적 호조 등에 급등한 가운데 아마존(+4.65%), 알파벳A(+3.70%), 엔비디아(+7.42%) 등도 동반 상승하는 등 인터넷, 반도체 테마가 강세를 기록. 페이팔(+11.48%)도 양호한 실적 발표에 급등하는 등 전자결제 테마가 상승했고, 애플(+4.52%)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2.26%) 등 컴퓨터, 넷플릭스(+5.82%) 등 미디어 등 주요 기술주 관련 테마들도 동반 상승. 국제 유가 급등 속 엑슨 모빌(+3.02%), 셰브론(+3.55%) 등 정유 테마도 상승.
이 외 쿠팡(+3.89%) 등 전자상거래, 로블록스(+5.76%) 등 게임, 화이자(+1.55%) 등 제약/바이오, 골드만삭스(+1.65%) 등 은행, 비자(+3.06%) 등 카드, 메트라이프(+1.30%) 등 보험, 맥도날드(+2.85%) 등 음식료, 나이키(+4.79%) 등 소비재, 홈데포(+3.37%) 등 유통, 페덱스(+3.81%) 등 물류, 델타 항공(+2.83%) 등 항공, 에어비앤비(+4.93%) 등 여행, 라스베가스 샌즈(+2.41%) 등 카지노, US스틸(+1.29%) 등 철강 등의 테마가 상승. 금 가격 상승 속 뉴몬트 마이닝(+1.59%) 등 금(金) 테마도 상승.
4월 29일 금요일
1. 美) 3월 개인소득, 개인소비지출(현지시간)
2. 일본 증시 휴장
3. 실외마스크 해제여부 발표 예정
4. 3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5. 3월 산업활동동향
6. 3월 관광통계
7. KDI, 북한경제리뷰
8. 상상인스팩3호 신규상장 예정
9. SK바이오사이언스 실적발표 예정
10. SK이노베이션 실적발표 예정
11. 유한양행 실적발표 예정
12. 두산에너빌리티 실적발표 예정
13. 만도 실적발표 예정
14. 현대오토에버 실적발표 예정
15. 현대글로비스 실적발표 예정
16. 호텔신라 실적발표 예정
1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발표 예정
18. 한화 실적발표 예정
19. 삼성중공업 실적발표 예정
20. 아프리카TV 실적발표 예정
21. 한화생명 실적발표 예정
22. 안랩 실적발표 예정
23. LS ELECTRIC 실적발표 예정
24. 유앤아이 상호변경(에디슨INNO)
25. 휴온스블러썸 상호변경(휴엠앤씨)
26. 폴라리스웍스 상호변경(아이윈플러스)
27. 모트렉스 변경상장(주식병합)
28. 광무 변경상장(주식병합)
29. 아리온 변경상장(감자)
30. 그래디언트 거래정지(주식병합)
31. 이아이디 거래정지(감자)
32. 에스디시스템 추가상장(유상증자)
33. 삼부토건 추가상장(유상증자)
34. 금호에이치티 추가상장(CB전환/주식전환)
35. TYM 추가상장(CB전환)
36. 웰바이오텍 추가상장(CB전환)
37. 글로본 추가상장(CB전환)
38.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39. CJ CGV 추가상장(CB전환)
40. 내츄럴엔도텍 추가상장(CB전환)
41. 넵튠 추가상장(CB전환)
42. 클리오 추가상장(CB전환)
43. 케어랩스 추가상장(CB전환)
44.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보호예수 해제
45. 리파인 보호예수 해제
46. 美) 4월 시카고 PMI(현지시간)
47. 美) 4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확정치(현지시간)
48.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49. 美) US스틸 실적발표(현지시간)
50. 美)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 실적발표(현지시간)
51. 美) 셰브런 실적발표( 현지시간)
52. 美) 엑슨모빌 실적발표(현지시간)
53. 유로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예비치(현지시간)
54. 유로존) 3월 총통화(M3) 공급(현지시간)
55. 유로존)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예비치(현지시간)
56. 독일) 1분기 국내총생산(GDP) 예비치(현지시간)
57. 독일) 3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
▷EU, 이르면 내주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 가능성 등에 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셰일가스 테마 상승. ▷美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5월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소식에 화장품, 미용기기 테마 상승. 아울러 항공/저가 항공사, 면세점, 여행등의 리오프닝 테마도 상승. ▷3D 프린터, 글로벌 공급망 대란 해결책으로 부상 소식에 3D 프린터 테마 상승. ▷인수위, 2030년 원전 발전 비중 상향 계획 및 원전, K-택소노미 포함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서울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 본격화 소식에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테마 상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설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정부,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재건 참여 희망 소식 속 건설기계 테마 상승. ▷삼성SDI 2027년 전고체전지 상용화 기대감 및 SK온 2020년대 후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 등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이 외에 보톡스, 출산장려정책,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폴더블폰, 키오스크, 콜드체인(저온 유통),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 화폐 등)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전일 한국조선해양의 1분기 적자 전환 속 조선 테마 하락.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등에 따른 수급 차질 우려 등으로 최근 시장에서 부각됐던 사료/비료/농업 및 수산 등의 테마 하락. ▷인도네시아 팜유 원유 수출금지 이슈 속 상승했던 음식료업종 테마 하락. ▷이 외에 건설 대표주, 조림사업, 손해보험, 자동차 대표주, 마켓컬리 관련주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
|
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셰일가스 | EU, 이르면 내주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 가능성 등에 상승 |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산 석유 금수조치에 반대하던독일이 입장을 바꾸면서 유럽연합(EU)이 이르면 내주 단계적 러시아산 석유 금수 조치를 내릴 수 있다고 전해짐. EU 회원국은 지난 27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원유 수입 제재 방안을 논의했으며, EU 행정부 격인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도 조만간 회의를 열어 단계적 금수 조치를 위한 제안서를 확정할 예정. ▷독일이 러시아산 석유 금수 조치를 반대했던 이유 중 하나는 독일 슈베트 지역의 PCK 정유공장의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 독일이 폴란드 그단스크항을 통해 원유 수입을 하기로 폴란드와 합의하면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짐. ▷다만, 독일의 입장이 바뀌었지만, EU가 러시아 원유 금수에 합의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은 상황임.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는 EU 27개 회원국이 모두 승인해야하며, 헝가리와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그리스 등이 여전히 조심스러운 입장이기 때문이라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대성산업 등 LPG(액화석유가스), 대성에너지, 지에스이 등 도시가스, SH에너지화학 등 셰일가스 테마가 상승. 한국석유는 1분기 호실적 및 에너지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달 1일부터 민수용(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을 8.4~9.4% 인상. 이번 가스 요금 조정으로 가구당 평균 가스요금은 월 2,450원 가량 오를 전망이며, 서울을 기준으로 하면 월 가스요금은 평균 2만9,300원에서 3만1,750원으로 인상될 예정. |
|
반도체 관련주 | 美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상승 |
▷지난밤 뉴욕증시가 메타 등 빅테크 실적 호조 등에 급등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1.45(+5.58%) 상승한 3,056.36를 기록. 퀄컴(+9.69%), 엔비디아(+7.42%), TSMC(+5.50%), 인텔(+3.58%) 등이 상승. 특히 퀄컴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2분기(1~3월) 실적을 발표, 매출은 111억6,000만달러(약 14조2,1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 주당순이익(EPS)은 3.21달러로 1년 전보다 69% 늘었으며, 매출과 EPS 모두 시장 전망치를 상회. ▷하이투자증권은 삼성전자에대해 단기적으로 주가의 Rock Bottom은 연간 저점 배수들의 역사적 평균인 P/B 1.2 배 수준(6만원)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주가는 저점 매수가 가능한 가격대로 진입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2분기 영업이익은 15.2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8% 증가할 것으로 전망. IM 부문에서 예상되는 마케팅 비용 증가와 스마트폰 출하량 하락에 따른 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부문에서는 DRAM, NAND 출하량의 대폭 증가와 고정거래가격의 안정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예스티, 고영, 동진쎄미켐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한편, 인텔은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매출액은 184억 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87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상회. 다만, 2분기 가이던스(매출액 180억 달러, 조정 EPS 0.70달러)가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음. |
|
화장품 | 5월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소식에 상승 |
▷이날 정부는 5월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화원칙을 해제하기로 결정. 김부겸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일부에서 우려도 있었지만, 혼자만의 산책이나 가족 나들이에서 조차도 마스크를 벗을 수 없는 국민들의 답답함과 불편함을 계속 외면할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며, 다음달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다만, 50명 이상이 모이는 집회, 행사, 스포츠 경기 관람 시에는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제이준코스메틱, 리더스코스메틱, 오가닉코스메틱, 한국화장품, 토니모리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한편,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이 같은 정부 방침에대해 유감의 뜻을 표명했음. 인수위 홍경희 부대변인은 "인수위는 코로나 일상 회복의 일환으로 마스크 착용의 해제 방향에 공감하지만, 현시점에서 실외 마스크 해제는 시기상조임을 누누이 강조해 왔다"라며, "유감을 표한다"고 언급. |
|
3D 프린터 | 3D 프린터, 글로벌 공급망 대란 해결책으로 부상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3D 프린팅 글로벌 기업 폼랩이 최근 전 세계 엔지니어, 디자이너, 사업가 등 400명을 대상으로 3D 프린터의 사용여부와 용도 등을 조사한 '2022년 3D 프린팅 산업 활용 및 동향 보고서'를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조사 결과 3D 프린터 이용자의 상당수가 제품 프로토타입이나 테스트용이 아닌 실제 부품의 최종 완성물용으로 3D 프린팅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코로나19로 발생한 전 세계 공급망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의 절감 차원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기업과 엔지니어들이 급증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폼랩의 공동 창시자인 맥스 로보브스키(Max Lobovsky)는 "코로나19 이후 3D 프린팅 공정에유연성, 공급망 위험 완화, 워크플로 간소화, 전통 제조방식에 보조용 등의 활용도까지 새롭게 추가됐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TPC, 모아텍, 세중 등 3D 프린터 테마가 상승. |
|
원자력발전 | 인수위, 2030년 원전 발전 비중 상향 계획 및 원전, K-택소노미 포함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인수위는 부처간 협력을 통해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조기 재개하고, 원전의 계속 운전·이용률 조정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원전발전 비중을 상향할 계획이라고 밝힘. 또한, 한-미 원전 동맹을 강화하고, 원전 10기 수주를 목표로 원전수출추진단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언급. ▷아울러 친환경 산업의 기준이 되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에 원자력발전을 포함하겠다고 발표. 인수위는 "녹색 금융·투자의 기초가 되는 녹색분류체계에 유럽연합(EU) 사례를 참고해 사회적 합의를 거쳐 원전을 포함하겠다"며 "기후테크 등 녹색 산업·기술을 육성해 미래 먹거리 발굴의 새로운 기회로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서전기전, 오르비텍, 에너토크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
|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 서울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 본격화 소식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비전 2030에서 제시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을 시작할 계획.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그동안 단절돼 있던 서울 전역의 332㎞ 실개천과 소하천 등 수변 중심으로 공간 구조를 재편하는 사업이며, 단순히 하천을 정비하는 게 아니라 문화,경제, 일상휴식 등 다양한 야외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정비하고, 지역 특성과 연계해 균형 발전을 도모한다는 구상임. ▷서울시는 수변 감성도시 사업을 위해 총 100억 원을 투입해 3개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며, 도림천, 정릉천,홍제천(상·중류) 4곳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임. ▷이와 관련 뉴보텍, 시노펙스, 와토스코리아, 코오롱글로벌 등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테마가 상승. 한편, 한강르네상스, 경인운하 등의 사업에 참여했던 진흥기업과 국내 최초 개발한 고분자 신소재 기술을 통해 생태하천복원사업과 공원조성사업에 소재를 공급한 바 있는 웹스가 시장에서 부각. |
|
정치/인맥(이재명)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설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이번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경기 성남분당갑의 경우 거물급 인사들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어 최대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에선 안철수 위원장의 등판론에 제기되고 있으며, 민주당에선 이재명 상임고문의 복귀설에 힘이 실리고 있음. ▷한편,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서울시장 후보로 선출될 경우 이재명 상임고문은 공석이 되는 인천 계양구을에 출마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코이즈, 성안, 에이텍티앤, 프리엠스, 에이텍, 형지엘리트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상승. |
종 목 | 사유 |
대모 (317850) 9,420원 (↑29.93%) |
정부,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재건 참여 희망 언급 모멘텀 지속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SH에너지화학 (002360) 1,520원 (↑29.91%) |
EU,이르면 내주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 가능성 속 미국 내 천연가스 개발 관련 현지법인 설립 사실 부각에 상한가 |
제이준코스메틱 (025620) 1,390원 (↑29.91%) |
5월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소식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씨엔플러스 (115530) 711원 (+18.90%) |
대표이사 및 최대주주 등의 자발적 의무보유 등에 급등 |
현대에버다임 (041440) 7,720원 (+18.77%) |
정부,우크라이나 전후 복구·재건 참여 희망 언급 모멘텀 지속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
홈센타홀딩스 (060560) 1,750원 (+18.64%) |
TK신공항 조기 건설 추진 소식 속 대구/경북지역 기반 건축자재 도소매업체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
오가닉티코스메틱 (900300) 492원 (+15.76%) |
5월2 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소식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국석유 (004090) 18,450원 (+15.67%) |
1분기 호실적 및 EU, 이르면 내주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 가능성 등에 에너지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대성에너지 (117580) 17,650원 (+15.36%) |
5월1일부터 민수용(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 소식 및 EU, 이르면 내주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 가능성 등에 도시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국화장품 (123690) 11,400원 (+14.00%) |
5월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소식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GS글로벌 (001250) 4,600원 (+13.02%) |
인수위 전력시장 민영화 시사에 따른 석탄발전 경쟁력 부각 및 中 최대 석탄 항구 봉쇄 소식에 급등 |
진흥기업 (002780) 2,705원 (+12.71%) |
서울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 시작 소식 속 한강르네상스/경인운하 사업 참여 사실 부각에 급등 |
에이텍티앤 (224110) 13,600원 (+11.48%) |
이재명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설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속 급등 |
성안 (011300) 600원 (+11.32%)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설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속 급등 |
TPC (048770) 4,890원 (+11.14%) |
3D 프린터, 글로벌 공급망 대란 해결책으로 부상 소식에 3D 프린터 테마 상승 속 급등 |
송원산업 (004430) 27,200원 (+10.79%) |
1분기 호실적에 급등 |
KG스틸 (016380) 24,650원 (+10.79%) |
KG그룹, 쌍용차 인수전 참여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KG그룹주 상승 속 급등 |
서전기전 (189860) 11,100원 (+10.45%) |
인수위, 2030년 원전 발전 비중 상향 계획 및 원전, K-택소노미 포함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
큐로홀딩스 (051780) 722원 (+10.40%) |
EU, 이르면내주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 가능성 속 자회사 큐로컴에너지, 해외 유가스전 개발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
유바이오로직스 (206650) 19,150원 (+9.43%) |
유비톡스주 100단위 국내 품목허가 신청에 급등 |
토니모리 (214420) 7,040원 (+8.98%) |
5월2일부터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소식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코이즈 (121850) 3,325원 (+8.48%)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설 등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속 급등 |
오하임아이엔티 (309930) 5,200원 (+8.33%) |
'오늘의 집' KDB넥스트라운드 싱가포르 쇼케이스 참여 소식 속 시장에서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OCI (010060) 105,500원 (+8.32%) |
태양광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덕신하우징 (090410) 3,030원 (+8.21%) |
가덕도 신공항 건설 추진 기대감 지속 속 공항시설 건설용 탈형데크 조달청 우수제품 등록 사실 부각에 급등 |
리더스코스메틱 (016100) 3,745원 (+8.08%) |
5월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 소식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 아프리카TV(06716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52.98억원(전년동기대비 +23.65%), 영업이익 231.18억원(전년동기대비 +17.97%), 순이익 195.82억원(전년동기대비 +26.96%)
* 바이오니아(06455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14.54억원(전년동기대비 +23.19%), 영업이익 103.99억원(전년동기대비 -42.69%), 순이익 91.37억원(전년동기대비 -40.32%)
* 안랩(05380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90.29억원(전년동기대비 +15.70%), 영업이익 33.05억원(전년동기대비 -6.98%), 순손실 51.8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77.60억원(전년동기대비 +16.01%), 영업이익 40.78억원(전년동기대비 +20.57%), 순손실 44.4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현대미포조선(010620) - 유럽 소재 선주와 1,59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51%) 규모 공급계약(P/C선 2척) 체결(계약기간:2022-04-28~2024-09-15)
* SK이노베이션(09677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16.26조원(전년동기대비 +72.91%), 영업이익 1.64조원(전년동기대비 +182.20%), 순이익 8,632.9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한화생명(08835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06조원(전년동기대비 -7.73%), 영업손실 581.5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이익 508.73억원(전년동기대비 -73.80%).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25조원(전년동기대비 +3.53%), 영업이익 1,307.37억원(전년동기대비 -70.06%), 순이익 988.06억원(전년동기대비 -70.62%)
*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37조원(전년동기대비 +13.66%), 영업이익 664억원(전년동기대비 +0.75%), 순이익 467억원(전년동기대비 -53.34%)
* 나인테크(267320) - SILICON BOX와 82.4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07%)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제작용 WET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4-28~2022-09-05)
* 코웰패션(03329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811.58억원(전년동기대비 +164.72%), 영업이익 276.07억원(전년동기대비 +36.04%), 순이익 160.85억원(전년동기대비 +13.70%)
* DB(01203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26.73억원(전년동기대비 +36.53%), 영업이익 101.24억원(전년동기대비 -1.24%), 순이익 97.07억원(전년동기대비 -0.96%)
* 송원산업(00443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384.33억원(전년동기대비 +52.11%), 영업이익 571.95억원(전년동기대비 +229.78%), 순이익 434.27억원(전년동기대비 +373.88%)
* 와이엠씨(15565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78.96억원(전년동기대비 +73.10%), 영업이익 45.46억원(전년동기대비 +236.74%), 순이익 38.01억원(전년동기대비 +158.39%)
* 멕아이씨에스(05811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6.59억원(전년동기대비 +12.79%), 영업이익 12.39억원(전년동기대비 +28.79%), 순이익 9.60억원(전년동기대비 +26.81%)
* 슈프리마(23620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65.42억원(전년동기대비 +7.61%), 영업이익 10.38억원(전년동기대비 -68.18%), 순이익 28.53억원(전년동기대비 -50.62%)
* 유비케어(03262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93.94억원(전년동기대비 +11.25%), 영업이익 21.90억원(전년동기대비 -32.90%), 순이익 12.03억원(전년동기대비 -86.11%)
* 피에스텍(002230)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연장결정(기간:2022-05-01~2022-10-31, 미래에셋대우(MIRAE ASSET DAEWOO))
* 대한전선(00144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5,137.61억원(전년동기대비 +31.16%), 영업이익 51.56억원(전년동기대비 +199.76%), 순이익 61.4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LS ELECTRIC(01012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296.64억원(전년동기대비 +23.80%), 영업이익 405.66억원(전년동기대비 +73.71%),순이익 334.76억원(전년동기대비 +112.82%)
* 한국석유(00409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13.64억원(전년동기대비 +39.26%), 영업이익 47.10억원(전년동기대비 +43.90%), 순이익 34.90억원(전년동기대비 +95.73%)
* 현대글로비스(08628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29조원(전년동기대비 +24.25%), 영업이익 4,263.10억원(전년동기대비 +103.70%), 순이익 2,919.26억원(전년동기대비 +125.27%)
* 유한양행(00010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976.92억원(전년동기대비 +12.26%), 영업이익 50.29억원(전년동기대비 -59.53%), 순이익 887.61억원(전년동기대비 +217.75%)
* 파워로직스(047310) - 22년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2,418.13억원(전년동기대비 +8.71%), 영업손실 68.3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현대오토에버(30795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595.73억원(전년동기대비 +56.91%), 영업이익 223.68억원(전년동기대비 +94.48%), 순이익 177.40억원(전년동기대비 +98.19%)
* 동국제강(00123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13조원(전년동기대비 +52.69%), 영업이익 2,058.25억원(전년동기대비 +88.08%), 순이익 2,725.61억원(전년동기대비 +889.22%).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96조원(전년동기대비 +51.24%), 영업이익 1,675.61억원(전년동기대비 +63.81%), 순이익 1,219.66억원(전년동기대비 +102.06%)
* 종근당(18575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380.39억원(전년동기대비 +8.78%), 영업이익 243.29억원(전년동기대비 +8.58%), 순이익 171.88억원(전년동기대비 +27.16%)
* 하츠(06613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10억원(전년동기대비 -4.38%), 영업이익 19억원(전년동기대비 -52.27%), 순이익 15.32억원(전년동기대비 -54.80%)
* 라온테크(23268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41.50억원(전년동기대비 +34.16%), 영업이익 23.39억원(전년동기대비 +34.96%), 순이익 17.67억원(전년동기대비 +5.74%)
* 종근당바이오(06316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68.34억원(전년동기대비 +39.82%), 영업이익 1.9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7.0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녹십자엠에스(14228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38.60억원(전년동기대비 +93.36%), 영업이익 31.17억원(전년동기대비 +85.97%), 순손실 22.6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45.61억원(자기자본대비 14.02%)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한글과컴퓨터(030520) - 보통주 4,000주(0.55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2-04-29~2022-05-10)
* 퓨쳐켐(220100) -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 대한 [177Lu] 루도타다이펩의 단일투여 및 반복투여 FDA 제1/2a상 임상시험계획 신청
* 한라홀딩스(060980) - 반도체 소부장社(윌비에스엔티) 인수 추진 기사 관련 해명으로 여러가지 방안을 다방면으로 검토 중이나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 덕양산업(024900)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으로부터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모빌리티 인테리어 CMF 디자인개발 국책사업 지원대상 기업 선정
* HSD엔진(082740) - 삼성중공업(주)와 공급계약(선박용 엔진) 체결(계약기간:2022-04-29~2024-10-11)
* 액션스퀘어(205500) - Blockchain Game Partners, Inc.와 공급계약('Project AE' 개발 및 퍼블리싱 계약) 체결(계약기간:2022-04-28~2026-12-31)
* 한국가스공사(036460) - 2022년도 천연가스 공급비용 조정(시행일:2022-05-01)
4월 30일 토요일
1. 에어부산, 부산-괌 노선 운항 재개
2. 아센디오 보호예수 해제
3. 크로바하이텍 보호예수 해제
4. 네오리진 보호예수 해제
5. 中) 4월 차이신 제조업 PMI
6. 中) 4월 제조업 PMI
7. 中) 4월 비제조업 PMI
* 야구 일정
14시
삼성 VS KIA <광주>
17시
한화 VS NC <창원>
KT VS 키움 <고척>
롯데 VS LG <잠실>
두산 VS SSG <문학>
5월 1일 일요일
1. 유류세 인하폭 확대 시행
2.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 예정
3. 레미콘 가격 인상 예정
4. 해태제과 주요제품 가격 인상
5. 폐배터리 재활용 얼라이언스 본격 가동 예정
6.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넥센타이어, 타이어 가격 인상 예정(현지시간)
7. 엔켐 보호예수 해제
8. 지투파워 보호예수 해제
9. EPL) 토트넘 VS 레스터
* 야구 일정
14시
한화 VS NC <창원>
KT VS 키움 <고척>
롯데 VS LG <잠실>
두산 VS SSG <문학>
삼성 VS KIA <광주>
5월 2일 월요일
1. 美) 4월 ISM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 중국, 영국, 대만, 홍콩 증시 휴장
3.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예정
4. 한덕수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5. 기획재정부 장관, 국토부 장관, 외교부 장관, 문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6. 韓-유럽 배터리데이
7. 서울기술연구원, 초실감형 메타버스 서비스 시범 오픈 예정
8. 하이브, 걸그룹 르세라핌 컴백 예정
9. 3월 온라인쇼핑동향
10. 국고채 30년물 입찰 예정
11. 롯데칠성 실적발표 예정
12. 카카오페이 실적발표 예정
13. 메리츠증권 실적발표 예정
14. 한국항공우주 실적발표 예정
15. DL 실적발표 예정
16. DL이앤씨 실적발표 예정
17. DL건설 실적발표 예정
18. 원익머트리얼즈 실적발표 예정
19. F&F 실적발표 예정
20. 초록뱀미디어 거래정지(주식병합)
21. 토박스코리아 거래정지(주식병합)
22. 지더블유바이텍 추가상장(BW행사)
23. 에이비프로바이오 추가상장(CB전환)
24. 에이티세미콘 추가상장(CB전환)
25. 참엔지니어링 추가상장(CB전환)
26. 인스코비 추가상장(CB전환)
27. 美) 3월 건설지출(현지시간)
28. 美) 4월 제조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9. 美) 무디스 실적발표(현지시간)
30. 유로존) 4월 제조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31. 독일) 4월 제조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32. 독일) 3월 소매판매(현지시간)
33. 日) 4월 소비자신뢰지수
'경제 >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03 특징테마 (0) | 2022.05.03 |
---|---|
220502 특징테마 (0) | 2022.05.02 |
220428 특징테마 (0) | 2022.04.28 |
220427 특징테마 (0) | 2022.04.27 |
220426 특징테마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