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국채금리 급등에도 기업 실적 기대감 등에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애플(+1.41%)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1.70%) 등 컴퓨터, 아마존(+3.49%), 알파벳A(+1.83%), 메타(+3.10%) 등 인터넷, 넷플릭스(+3.18%) 등 미디어, 테슬라(+2.38%) 등 전기차, 엔비디아(+1.91%) 등 반도체 등 주요 기술주 관련 테마들이 일제히 상승. 한편, 넷플릭스는 장 마감 후 EPS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구독자 수가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20만명 가량 줄었다는 소식에 시간외 거래에서 급락세를 기록.
아울러 플로리다 연방법원이 바이든정부의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 연장 결정을 무효로 판결했다는 소식에 델타 항공(+2.16%), 사우스웨스트 에어라인(+2.36%) 등 항공, 에어비앤비(+2.64%) 등 여행, 카니발(+4.57%) 등 크루즈, 라스베가스 샌즈(+4.34%) 등 카지노 등 여행/항공 관련 테마들이 동반 상승. 비트코인 상승 속 코인베이스(+4.21%) 등 암호화폐 테마가 상승했고, 국채금리 급등 속 뱅크오브아메리카(+1.85%) 등 은행 테마가 상승. 이 외줌 비디오(+5.14%) 등 S/W 및 IT 서비스, 페이팔(+3.06%) 등 전자결제, 로블록스(+2.82%) 등 게임, 스타벅스(+2.04%) 등 음식료, 나이키(+4.12%) 등 소비재, 홈데포(+2.53%) 등 유통, 페덱스(+2.73%) 등 물류, GM(+3.57%) 등 자동차, US스틸(+1.67%) 등 철강 등의 테마가 상승.
1. 美) 3월 기존주택판매(현지시간)
2. 美) 테슬라 실적발표(현지시간)
3. 中) 4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예정
4. G20 재무장관 회의(현지시간)
5.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기자회견(현지시간)
6.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기자회견(현지시간)
7.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8.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9.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10. 상하이 봉쇄 추가 완화 예정
11. 문승욱 산업부 장관, 보잉社 방문 예정
12. 현대차, NFT 발행 예정
13. 월드IT쇼(WIS) 개최
14. 세계보안엑스포
15. 데이터 기본법 시행령 발효 예정
16. 롯데손해보험 실적발표 예정
17. 포바이포 공모청약
18. 상상인스팩3호 공모청약
19. 스포츠서울 상장폐지
20. KH E&T 상호변경(KH 건설)
21. 위니아딤채 상호변경(위니아)
22. 넥스트사이언스 상호변경(HLB글로벌)
23. 이즈미디어 추가상장(무상증자)
24. 고바이오랩 추가상장(유상증자)
25. 노을 추가상장(주식전환)
26. 두산중공업 추가상장(BW행사)
27.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추가상장(BW행사)
28. 시스웍 추가상장(BW행사)
29. 체리부로 추가상장(BW행사)
30. 오성첨단소재 추가상장(BW행사)
31. 지더블유바이텍 추가상장(CB전환/BW행사)
32. RF머트리얼즈 추가상장(CB전환)
33. 대유에이피 추가상장(CB전환)
34. 엔투텍 추가상장(CB전환)
35. 스튜디오산타클로스추가상장(CB전환)
36. 오르비텍 추가상장(CB전환)
37. 케이피엠테크 추가상장(CB전환)
38. 큐캐피탈 추가상장(CB전환)
39. 한국특강 추가상장(CB전환)
40. 오토앤 보호예수 해제
41.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42.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43.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44. 美) 알코아 실적발표(현지시간)
45. 美) P&G 실적발표(현지시간)
46. 유로존) 2월 무역수지(현지시간)
47. 독일)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48. 日) 2월 3차산업지수
49. 日) 3월 무역수지(예비치)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
▷중국 철강 생산기지 탕산 지역 임시 봉쇄 소식 등에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강관업체(Steel pipe) 테마 상승. ▷식료품 가격 폭등 소식 및 곡물가격 급등 영향 지속 등에 음식료업종, 수산 테마와 일부 사료, 비료, 농업 테마가 상승. ▷제지업계, 종이 가격 인상 소식 등에 제지 테마 상승.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자동차 대표주 상승. ▷에탄올 원료 옥수수 가격 9년만에 최고치 기록 등에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테마 상승. ▷골프산업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골프 테마 상승. ▷정부, 전기차 폐배터리 법제 마련 소식 등에 폐배터리 관련주 상승.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골든타임 기술 개발 소식에 일부 치매 테마 상승. ▷美 국채수익률 급등 속 은행, 손해보험, 생명보험 테마 상승. ▷이 외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요소수 관련주, 희귀금속(희토류 등), 공작기계, 비철금속,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폐기물처리,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페인트, 국내상장 중국기업, 창투사,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천연가스 가격 급락 등에 LPG(액화석유가스), 도시가스 테마 하락. ▷국내 상위건설업체 영업이익 감소 전망 및 고용노동부, 대우건설 중대재해법 조사 착수 소식 등에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 하락. ▷넷플릭스, 1분기 신규 가입자 감소 소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하락. ▷이 외 자전거, 조선, 엔터테인먼트,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음원/음반,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크래프톤 관련주, 종합상사, 토스 관련주, 메타버스, 자원개발, 탈모 치료 관련주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
철강/강관업체(Steel pipe) | 중국 철강 생산기지 탕산 지역 임시 봉쇄 소식등에 상승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에 따라 철강·강관 등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있는 가운데, 전일 中 탕산시는 코로나19 감염자 급증으로 인해 펑룬구, 준화시(구급) 등 도시 대부분 지역을 임시 봉쇄했다고 밝힘. 이는 봉쇄 해제 8일 만에 일부 지역을 재봉쇄한 것이며, 당국은 전 주민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한다고 밝힘. 탕산시는 중국 전체 철강 생산의 13%를 차지하는 주요 철강 생산기지로 이번 봉쇄 조치에 따라 중국 철강 생산은 물론 세계 철강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유럽에서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를 대체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잇따라 추진하면서 철강·강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점도 철강업계에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 속 금강철강, 한일철강, 부국철강, 하이스틸, 세아제강 등 철강/강관업체(Steel pipe) 테마가 상승. ▷한편, 한국철강협회와 한국무역협회 등 한국 협회단은 이달 말 미국을 방문해 美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 철강협회 관계자들과 잇따라 만날 예정. 협회단은 미 정부 인사들에게 철강 분야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고, 철강 관련 무역확장법 232조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 |
|
음식료업종/수산 등 | 식료품 가격 폭등 소식 및 곡물가격 급등 영향 지속 등에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전 세계 식료품 가격이 1년 전보다 34% 폭등하면서 애그플레이션이 확산중인 것으로 전해짐. 세계적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국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농산물 가격의 급등세인 '애그플레이션'과 에너지값 고공행진인 'E플레이션'이 겹치면서 초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음.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영향과 전 세계적인 물류난으로 해상운임이 급등하면서 지난달 수입 밀의 가격이 t(톤)당 400달러대를 돌파했으며, 밀 수입단가가 400달러를 넘은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임. 수입 밀 가격이 오르면 이를 원료로 사용하는 국내 식품 가격이 오르고 있으며, 외식 물가 부담이 계속 커지는 모습. ▷한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적으로 곡물가격 급등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8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7월 인도분 옥수수 선물은 부셸(약 25.4㎏)당 8.07달러로 2012년 9월 이후 10년만에 8달러선을 돌파. ▷이 같은 소식에 크라운제과, 한국맥널티, 해태제과식품, 서울식품 등 음식료 업종이 상승세를 기록. 곡물가격 급등 영향 지속 등에 한성기업, 사조씨푸드 등 수산 테마와 대주산업, 현대사료, 카프로, 골든센츄리 등 일부 사료/비료/농업 테마도 상승. 현대사료는 전일 장 마감 후 1주당 가액 500원을 100원으로 분할하는 주식분할 결정 공시. |
|
제지 | 제지업계, 종이 가격 인상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내 제지기업 1·2인 한솔제지와 무림페이퍼가 일제히 종이 가격을 인상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는 해상 운임 급등에 국제 펄프 가격이 치솟는 탓에 원가 압력이 갈수록 심해져 한계에 봉착했다는 판단 때문인것으로 알려짐. 한국제지연합회 관계자는 “코로나 장기화와 유가 급등에 국제 펄프 값이 치솟아 인쇄용지를 팔수록 오히려 손해라는 얘기를 공공연하게 할만큼 영업환경이 악화돼 제지업계가 전반적으로 추가적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설명. ▷한솔제지는 오는 5월 1일부터 출고되는 국내 인쇄용지 가격을 15% 올리기로 했으며, 이는 올해 벌써 두 차례 가격 인상임. 아울러 같은 날부터 무림P&P와 무림페이퍼도 국내 인쇄용지 가격을 15% 인상할 예정이며, 한국제지 역시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가격 인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무림P&P, 깨끗한나라, 무림페이퍼, 세하 등 제지 테마가 상승. |
|
자동차 대표주 |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가 연초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신흥국 환율 약세, 원자재 급등 및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1분기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1분기 실적이 최근 높아진 시장의 눈높이를충족시킬 것으로 전망. ▷아울러 현재 4월 생산도 미미한 차질은 발생하고 있으나, 당초 제시된 운영 계획에서 크게 벗어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며, 2분기 양사의 생산은 약 95만대, 72만대를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약 5-10%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현대차/기아의 현 주가는 12mf PER 8.5x, 5.5x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지않은 상황이라며, 특히 기아의 경우 밸류에이션 매력이 돋보이며 재작년 이후 수익성 개선을 주도했던 CKD, 인도 공장 생산 확대로 물량 회복에 따른 실적 탄력성도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분석. ▷이에 금일 현대위아, 기아, 만도 등 자동차 대표주가 상승. |
|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 에탄올 원료 옥수수 가격 9년만에 최고치 기록 등에 상승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적으로 곡물가격 급등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에탄올 원료인 옥수수 가격이 미국에서 9년만에 최고치를 기록. 지난 18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7월 인도분 옥수수 선물은 부셸(약 25.4㎏)당8.07달러로 2012년 9월 이후 처음으로 8달러선을 돌파. ▷한편, 업계에 따르면, 지난 18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억눌렸던 회식수요가 늘면서 매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MH에탄올, 하이트진로홀딩스, 보해양조, 무학 등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테마가 상승. |
|
골프 | 골프산업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국내 골프장 이용객 수가 급격히 증가(2020년 12.1%, 2021년 8,2%)하면서 2021년에 5천만명을 넘어섰고, 이를 통해 골프장 매출액 규모 및 수익성도 개선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아울러 코로나19 이후인 올해에도 골프산업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 국내 골프장은 해외 골프여행 증가로 인하여 공백이 생기겠지만, 국내 신규 유입자로 인해 시장은 여전히 견고할 것으로 판단되고, 골프용품 및 골프웨어 시장은 국내는 물론 해외 골프 여행 등으로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 ▷이 같은 소식에 브이씨, 골프존뉴딘홀딩스, 까스텔바작 등 골프 테마가 상승. |
|
폐배터리 관련주 | 정부, 전기차 폐배터리 법제 마련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전기차용 노후 2차전지(사용후 배터리, 폐배터리)를 활용한 신사업 육성을위해 관련 법제 마련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짐. 전기차용 2차전지는 에너지밀도 감소 문제로 7~10년 주기로 교체해야 하는데 재활용이나 재사용을 위한 법안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사용후 배터리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 용역을 최근 발주한 것으로알려짐. ▷한편, SNE리서치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사용후 배터리는 연간 33%가량 늘고 있으며, 관련 시장 규모도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파워로직스, 영화테크 등 폐배터리 관련주가 상승. |
|
치매 |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골든타임 기술 개발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치매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을 밝힐 수 있는 기술이 최초로 개발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성준경 고려대 인공지능학과·바이오공학부 교수 연구팀 논문이 전일(현지시간) 미국의 과학저널 '셀 뉴런(Cell Neuron)'에 게재됐음. ▷논문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매가 처음 시작되는 과정에서 대뇌 특정 영역에 응집된 타우 단백질에 아밀로이드가 영향을 미쳐 전파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타우의 급격한 전파 원인이아밀로이드와 특정 영역에서 직접 만나 부스팅되기 때문이란 점을 새롭게 밝혀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성준경 교수는 "이번논문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라도 타우의 슈퍼전파가 일어나기 전까지만 효능이 있으리라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힌 것"이라며, "뇌 영상을 기반으로 개인별 알츠하이머 치료의 골든타임을 알려줄 수 있는 이 기술이 치매의 정밀의료를 실현하는 데에 도움을 줄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화일약품, 메디프론, 이수앱지스, EDGC 등 일부 치매 테마가 상승. |
|
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 | 천연가스 가격 급락 영향에 하락 |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2008년 9월 이후 13년만에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했던 5월 천연가스 선물 가격이 전일(현지시간) 하룻새 10% 이상 하락하며 현재 7달러대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속 중앙에너비스, 극동유화,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등 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 테마가 하락. |
|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 국내 상위 건설업체 영업이익 감소 전망 및 고용노동부, 대우건설 중대재해법 조사 착수 소식 등에 하락 |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시평) 상위 10개 건설업체 가운데, 현대건설·GS건설·DL이앤씨·대우건설·HDC현대산업개발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11조6,104억원, 영업이익 8,255억원으로 추정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10.6%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0.7% 감소. 업계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원자재가격 인상이 지속돼 건설업체 실적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 ▷전일 고용노동부는 부산의 한신축공사 현장에서 노동자 사망 사고가 발생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고 밝힘. 해당 공사장의 시공사는 대우건설이며,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으로 중대재해법 적용 대상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대우건설, GS건설, 삼일기업공사, 신원종합개발 등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가 하락. |
|
영상콘텐츠 | 넷플릭스, 1분기 신규 가입자 감소 소식 등에 하락 |
▷세계 최대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가 현지시간으로 19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1분기 신규 가입자가 전년동기대비 20만명 줄어든 것으로 알려짐. 넷플릭스의 가입자가 줄어든 것은 2011년 이후 처음임. 또한, 2분기에도 가입자가 줄어 감소 폭이 2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넷플릭스는 실적 발표 이후 시간외거래에서 25% 넘게 폭락해 250달러대를기록했음. ▷이 같은 소식에 스튜디오드래곤, 삼화네트웍스, 제이콘텐트리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하락. |
종 목 | 사유 |
메이슨캐피탈 (021880) 910원 (↑30.00%) |
KG그룹, 쌍용차 정식 인수의향서(LOI) 제출 모멘텀 지속 속 최대주주측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PE), KG그룹과 공동 참여 사실 재부각에 상한가 |
크라운제과 (264900) 13,650원 (↑30.00%) |
식료품 가격 폭등 소식 및 곡물가격 급등 영향 지속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KG스틸 (016380) 24,350원 (↑29.87%) |
철강 주요종목 테마 상승 및 KG그룹, 쌍용차 정식 인수의향서(LOI) 제출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
금강철강 (053260) 11,200원 (↑29.63%) |
중국 철강 생산기지 탕산 지역 임시 봉쇄 소식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하이스틸 (071090) 7,460원 (+25.80%) |
중국 철강생산기지 탕산 지역 임시 봉쇄 소식 등에 강관업체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국맥널티 (222980) 9,870원 (+21.10%) |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및 원두 생산 차질에 따른 원두 가격 상승 속 반사이익 기대감에 급등 |
일동홀딩스 (000230) 51,200원 (+19.77%) |
시오노기제약 코로나19 치료제 긴급승인 기대감 지속에 급등 |
KG케미칼 (001390) 51,400원 (+16.55%) |
KG그룹, 쌍용차 정식 인수의향서(LOI) 제출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서울식품 (004410) 377원 (+15.64%) |
식료품 가격폭등 소식 및 곡물가격 급등 영향 지속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일철강 (002220) 4,865원 (+15.01%) |
중국 철강생산기지 탕산 지역 임시 봉쇄 소식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
브이씨 (365900) 15,600원 (+13.87%) |
골프산업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일부 골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크라운해태홀딩스 (005740) 10,850원 (+13.49%) |
자회사 크라운제과, 식료품 가격 폭등 소식 및 곡물가격 급등 영향 지속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흥국에프엔비 (189980) 4,530원 (+11.99%) |
식료품가격 폭등 소식 및 곡물가격 급등 영향 지속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부국철강 (026940) 5,580원 (+11.94%) |
중국 철강생산기지 탕산 지역 임시 봉쇄 소식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
쌍방울 (102280) 1,060원 (+9.17%) |
쌍방울그룹, 쌍용차 정식 인수의향서(LOI) 제출 모멘텀 지속에 급등 |
* HSD엔진(082740) - 대우조선해양과 1,16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9.4%) 규모 공급계약(선박용 엔진) 체결(계약기간:2022-04-19~2025-09-22)
* 와이아이케이(232140) - 삼성전자와 747.0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4.00%)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검사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4-13~2022-07-31)
* 코스모신소재(00507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906.75억원(전년동기대비 +14.41%), 영업이익 83.46억원(전년동기대비 +42.81%), 순이익 91.22억원(전년동기대비 +47.39%)
* 아이컴포넌트(059100) - 47억원(자기자본대비 14.80%) 규모 신규시설(시설투자(기계장치)) 투자 결정
* 효성ITX(09428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356.66억원(전년동기대비 +21.55%), 영업이익 72.56억원(전년동기대비 +57.43%), 순이익 49.87억원(전년동기대비 +50.59%)
* 쌍용C&E(003410) - 보통주 1주당 110원(시가배당율1.3%)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03-31)
* 휴젤(145020) - 보툴렉스(Botulax, 수출명 Letybo) 50유닛의 독일 품목허가 획득
* F&F(383220) - 美 테일러메이드 지분 매각 관련 보도에 대한 해명으로 테일러메이드 메자닌 지분 매각 건에 대해 현재 추진 중인 사항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도 없다고 밝힘
* 티에스이(131290) - (주)이노글로벌을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 대 0, 합병기일:2022-06-29)
4월 21일 목요일
1. 제롬 파월 美 연준 의장 연설(현지시간)
2.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3. IMF 총재·ECB 총재·美 연준의장 회담(현지시간)
4. 홍남기 부총리, S&P 글로벌 총괄 면담 예정(현지시간)
5.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취임식 예정
6. 3월 생산자물가지수
7. NAVER 실적발표 예정
8. 제주은행 실적발표 예정
9. 미래에셋비전스팩1호 신규상장 예정
10. 두산중공업 상호변경( 두산에너빌리티)
11. 위지트 추가상장(유상증자)
12. 비보존 헬스케어 추가상장(유상증자)
13. 인포마크 추가상장(유상증자)
14. CBI 추가상장(CB전환/BW행사)
15. 현대무벡스 추가상장(CB전환)
16. 알파홀딩스 추가상장(CB전환)
17. 아난티 추가상장(CB전환)
18. 지아이텍 보호예수 해제
19. 해성티피씨 보호예수 해제
20. 위지윅스튜디오 보호예수 해제
21. 美) 3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22. 美) 4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3.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4. 美) AT&T 실적발표(현지시간)
25. 美) 누코(NUCOR) 실적발표(현지시간)
26. 美) 유니언퍼시픽 실적발표(현지시간)
27. 유로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경제 >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22 특징테마 (0) | 2022.04.22 |
---|---|
220421 특징테마 (0) | 2022.04.21 |
220419 특징테마 (0) | 2022.04.19 |
220404 특징테마 (0) | 2022.04.04 |
220331 특징테마 (0) |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