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등에 급락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하락. 특히, 러시아에 대한 금융제재 등으로 신용시장의 혼란이 발생할 수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JP모건체이스(-3.77%), 뱅크오브아메리카(-3.91%), 웰스파고(-5.77%), 골드만삭스(-3.27%) 등 은행 테마가 약세를 나타냈고, 델타 항공(-5.71%), 사우스웨스트 항공(-4.22%) 등 항공, 익스피디아(-4.21%) 등 여행, 카니발(-7.23%), 노르웨이안 크루즈 홀딩스(-5.18%) 등 카지노 등 여행/항공/크루즈 관련 테마들이 하락.
이 외 애플(-1.16%)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1.29%) 등 컴퓨터, 아마존(-1.58%), 알파벳A(-0.74%), 메타(-3.57%) 등 인터넷, 넷플릭스(-2.10%) 등 미디어, 엔비디아(-3.72%) 등 반도체, 테슬라(-0.70%) 등 전기차 등 주요 기술주들도 일제히 하락했으며, 페이팔(-4.84%) 등 전자결제, 로블록스(-2.62%) 등 게임, 화이자(-2.54%) 등 제약/바이오, 비자(-3.31%) 등 카드, 메트라이프(-4.60%) 등 보험, 맥도날드(-2.10%) 등 음식료, 나이키(-3.17%) 등 소비재, 페덱스(-3.31%) 등 물류, GM(-4.71%) 등 자동차, 니콜라(-3.04%) 등 수소차 등의 테마가 하락.
반면, 국제 유가 폭등 속 엑슨모빌(+0.96%), 셰브론(+3.97%) 등 정유 테마가 상승했고, 금 가격 급등 속 뉴몬트 마이닝(+4.24%) 금(金) 테마가 상승. 타깃(+9.84%)이 실적 호조 등에 급등하는 등 유통 테마도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
3월 2일 수요일
1. 제롬 파월 美 연준의장 하원 증언(현지시간)
2. 美) 2월 ADP취업자 변동(현지시간)
3.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선관위 주최 3차 대선 토론회예정
6. OPEC+ 회의 예정(현지시간)
7. 1월 산업활동동향
8. 호전실업 실적발표 예정
9. 코람코더원리츠 공모청약
10. 신한알파리츠 권리락(유상증자)
11. 메드팩토 추가상장(주식전환)
12. 네온테크 추가상장(CB전환)
13.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14.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15.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16. 유로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예비치(현지시간)
17. 유로존) 2월 유로코인(EuroCOIN) 경제활동지수(현지시간)
18. 독일)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현지시간)
19. 독일) 2월 실업률(현지시간)
20. 영국) 존 커니프 영란은행(BOE) 부총재 연설(현지시간)
21. 영국) 2월 협의통화 및 준비잔고(현지시간)
22. 日) 4분기 자본지출
23. 日) 2월 본원통화
24. FA컵) 미들즈브러 VS 토트넘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 시황 |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국제유가 급등 등에 LPG, 정유 테마 상승. ▷러이사-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속 독일 등 군비 경쟁 가속화 전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 등에 사료/농업/비료 테마 상승. 수산물 대체제 부각 및 수입 수산물 대란 우려, 노르웨이산 연어 가격 폭등 조짐 등에 수산 테마 상승. ▷그린산업, 탈러시아 정책 본격화 수혜 및 단기 모멘텀 기대감 등에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긍정적 업종 분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비철금속 테마 상승. ▷美 전기차 시장 확대 본격화 기대감 및 현대차, 중장기 전기차 전략 발표 등에 전기차, 2차전지 테마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사이버 전쟁 심화 우려 등에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러시아 비트코인 대거 매수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정부, 우주 개발 투자 기대감 지속 및 머스크, 우크라이나에 스페이스X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 제공 소식 등에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1만9,241명 사상 최고치 경신, 위중증 환자 증가 등에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진단키트)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상승. ▷이 외 구제역/ 광우병 수혜, 해저터널, 아프리카 돼지열병, 육계, 크래프톤 관련주,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아스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영화, 강관업체, 자전거, 남-북-러 가스관사업, 캐릭터상품, 폐기물처리, 쿠팡 관련주, 증강현실(AR), 게임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美 채권금리 급락 및 Fed 긴축정책 속도 완화 전망 등에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등 테마 하락.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국내 자동차업계 타격 우려 지속, 현대차 러시아 공장 일시 가동 중단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 하락. ▷이 외 항공/저가 항공사, 통신 등 일부 테마만 하락. |
|
LPG(액화석유가스)/정유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국제유가 급등에상승 |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등에 급등하며 2014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7.69달러(+8.03%) 상승한 103.41달러에 거래 마감.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는 침공 엿새째인 금일 우크라이나 북동부 거점 도시인 하리코프의 광장 등 민간인 거주지를 폭격했으며, 군사시설 외에 민간인 거주지까지 공격하면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러시아군은 수도 키예프에서 TV타워를 파괴시켰으며, 이로 인해 국영 방송이 방송을 멈춘 것으로 알려짐. 이에 미국을 비롯한 서방 진영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제재를내릴 가능성이 제기되는 모습. 실제로 캐나다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를 선언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S-Oil, GS 등 LPG(액화석유가스)/정유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아울러 석유류제품 제조업 및 도소매업을 영위중인 한국석유도 시장에서 부각. |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속 독일 등 군비 경쟁 가속화 전망 등에 상승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지속되며 전쟁이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을필두로 군비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음. 이에 시장에서는 무기를 생산하는 방산 기업들의 실적 성장이 기대되고 있음. ▷하이투자증권은 지난 주 이미 방산주의 주가는 상승했으나 국방비 지출 확대와 유럽의 지정학적 변화는 거대한 흐름이라며 큰 흐름이 변화할 때에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느껴질 때까지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분석. 특히, 무인 유도무기와 경량화 무기에 연관된 기업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STX엔진, LIG넥스원, 풍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사료/농업/비료/수산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 및 수산물 대체재 부각 등에 상승 |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월28일(현지시간) 러시아 핵전력 관련 부대를 '특별 전투 준비태세'에 돌입시킨 가운데, 러시아는 침공 엿새째인 3월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북동부 거점 도시인 하리코프의 광장 등 민간인 거주지를 폭격했음. 군사시설 외에 민간인 거주지까지 공격하면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짐. 수도 키예프에서는 폭격으로 TV 타워가 파괴되는 등 국영 방송이 마비됐음. ▷이 같은 소식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가 고조되며 세계 밀 생산량급감에 대한 우려(우크라이나는 세계 5위 밀 수출국) 및 글로벌 곡물가 강세에 따른 수산물 등의 대체재 부각 등에 미래생명자원, 팜스토리, 현대사료, 남해화학, 효성오앤비, 신라에스지, 사조씨푸드 등 사료/농업/비료/수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특히, 수산 테마는 노르웨이산 연어 가격 폭등 조짐 및 러시아 의존도가 높은 대게나 명태같은 수입 해산물 수급 차질 우려도 부각되는 모습. |
|
풍력에너지/태양광에너지 | 그린산업, 탈러시아 정책 본격화 수혜 및 단기 모멘텀 기대감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향후 유럽의 에너지 시장은 탈러시아가 가장 큰 화두가 될 것이며, 이를 위한 정책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유럽의 러시아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에너지 의존도가 낮아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안보 문제, 미국과의 파워 게임 등의 여파로 EU를 비롯한 유럽 전체는 러시아를 에너지 동반자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고 분석. ▷아울러 유럽의 그린산업 성장의 모멘텀이 확대되고, 미국의 그린산업 부양안도 통과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관점에서도 국내 관련주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시점이 온 것으로 판단. ▷이 같은 소식에 씨에스베어링, 씨에스윈드, 유니슨, SDN, 한화솔루션, OCI 등 풍력에너지/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조선/조선기자재/비철금속 |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긍정적 업종 분석 등에 상승 |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1차 외교협상이 별무소득으로 일단락된 가운데, 러시아 관련 경제/금융 익스포저에 반비례해 업종별 주가 정상화 탄력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에너지 가격전반의 상승이 촉발될 경우, 에너지 설비(해양구조물) 수요와 산유국의 플랜트 발주 유도가 가능하고, 유럽국가들은 러시아로부터 PNG로 공급받던 천연가스를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라도 선박을 이용한 LNG로 전환해야 할 것(관련 설비 발주 증가 전망)이기 때문에 조선주가 긍정적이라고 밝힘. ▷아울러 러시아의 알루미늄 및 니켈 생산국으로서의 지위 등을 감안 시 비철금속 공급이 더 타이트해질 가능성이 있어 비철금속 가격 강세가 단기적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이는 비철금속 업체(고려아연, 풍산 등)들에게 오히려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STX엔진, 삼강엠앤티 등 조선/조선기자재, 풍산, 티플랙스, 고려아연 등 비철금속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2차전지/전기차 | 美 전기차 시장 확대 본격화 기대감 및 현대차, 중장기 전기차 전략 발표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 전기차 시장 확대가 본격화되고 있다고 분석. 이는 자동차 연비규제 부활, 충전 인프라 확충 예산 집행, 전기차 구매 보조금 부활 등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확대 정책때문이며, 2022년 판매 증가율 73%, 2025년까지 연평균 전기차 성장률 5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또한,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생산능력은 2021년 256GWh에서 2025년 786GWh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현대차는 오는 2030년까지 전기자동차(EV) 부문 영업이익률 10% 이상의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 오는 2030년 17종 이상의 EV 라인업을 구축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 187만대, 점유율 7% 달성을 추진하며, 전기차 수요 집중 지역 내 생산 확대, 차세대 배터리기술 개발 및 배터리 모듈화 등을 포함한 배터리 종합 전략 추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EV 상품성 강화 등의 중장기 전동화 전략을 추진할 방침임. ▷기아의 전용 전기자동차 EV6가 한국 브랜드 사상 처음으로 ‘2022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EV6는 최종 후보에 오른 르노 메간 E-테크, 현대차 아이오닉 5, 푸조 308, 스코다 엔야크 iV, 포드 머스탱 마하-E, 쿠프라 본 등 6개 경쟁 차량을 제쳤으며, 아이오닉 5는 3위에 오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KG케미칼, 상아프론테크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보안주(정보) | 러시아-우크라이나, 사이버 전쟁 심화 우려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의 보안 및 정보시설 공습을 예고한 것으로 전해짐. 러시아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정보 공격을 막기 위해 우크라이나의 정보 서비스 및 특수 작전 부대를 공격할 것"이라면서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민간인들은 대피하라"고 경고했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시작한 지난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정부 기관과 은행 웹사이트 다수가 디도스 공격으로 마비된 바 있으며,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의 사이버 침공에 맞서기 위해 정보기술(IT) 부대를 창설한 바 있음. ▷한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 세계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이 잇따르는 가운데, 국제 해킹그룹 어나니머스가 러시아를 겨냥한 전면적인 '사이버 전쟁'을 선언했음. ▷이와 관련 지니언스, 파수, 아톤 등 보안주(정보)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러시아 비트코인 대거 매수 소식 등에 상승 |
▷주요 외신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이 러시아의 7개 은행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에서 배제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국책은행인 VTB 방크, 방크 로시야, 오트크리티예, 노비콤방크, 소브콤방크, VEB.RF, 기타 1곳 등 7곳이 지목됐으며, 이 같은 조치에 따라 러시아가 제재 대상이 아닌 비트코인을 대거 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4만4,00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같은 시간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5,330만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케이피엠테크, 위지트, 비덴트, 우리기술투자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
|
우주항공산업 | 정부, 우주개발 투자 기대감 지속 및 머스크,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 서비스 제공 소식 등에 상승 |
▷정부는 지난 25일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2022년도 우주개발진흥 시행계획 등 3개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함. 정부는 올해 발사체부터 위성, 우주탐사까지 3대 우주개발 영역을 모두 수행하는 등 우주개발에 7,340억원을 투자할 예정. ▷아울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 상업위성이 전쟁 상황 파악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우리나라도 민·관 우주 정보협력체계 강화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 지난 28일 홍건식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우주 정보자산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만큼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략, 범부처 차원의 협의체 구축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며, "우주 공간 신흥안보 위협 대응을 위해 정부와 민간 영역이 연대하는 우주 정보 거버넌스 구축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짐.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 유선 인터넷망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저궤도 위성 통신사업인 스타링크 서비스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스타링크는 저궤도 위성군 수천개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망을 지구 모든 곳에 공급하는 프로젝트로, 러시아의 공격으로 우크라이나의 지상 기지국이 타격을 입더라도, 저궤도 위성군을 통해서 얼마든지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AP위성, 인텔리안테크, 비츠로테크 등 우주항공산업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은행/손해보험/생명보험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속 美 채권수익률 급락 및 연준 긴축정책 속도 완화 전망 부각 등에 하락 |
▷현지시간 1일 뉴욕증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급락하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해진 가운데, 美 채권수익률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임.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12.57bp 하락한 1.709%를 기록했으며, 2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13.14bp 하락한 1.301%을 기록했음. ▷아울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美 연준의 금리인상 일정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는 모습. 연준이 연초부터 공격적인 긴축정책을 예고했지만, 시장에서는 전쟁 충격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되면서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이에 현지시간 1일 뉴욕증시에서 JP모건체이스(-3.77%), 뱅크오브아메리카(-3.91%), 웰스 파고(-5.77%) 등 은행주가 하락세를 보였으며, 메트라이프(-4.60%) 등 보험주도 하락세를 기록했음. ▷이 같은 소식에 KB금융,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 한화손해보험, 메리츠화재 등 손해보험 테마, 코리안리, 한화생명 등 생명보험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 |
종 목 | 사유 |
카이노스메드 (284620) 2,475원 (↑29.92%) |
파킨슨병 치료제 'KM-819' 美 특허 취득에 상한가 |
미래생명자원 (218150) 8,820원 (↑29.90%)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 및 글로벌 곡물가 강세 등에 사료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한성기업 (003680) 7,690원 (↑29.90%)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에 따른 수산물 대체재 부각 및 수입 해산물 대란 우려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한국선재 (025550) 5,910원 (↑29.89%) |
종속회사한선엔지니어링, 블룸SK퓨얼셀 부품공급업체로 선정 소식에 상한가 |
사조씨푸드 (014710) 6,430원 (+19.07%)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에 따른 수산물 대체재 부각 및 수입 해산물 대란 우려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
씨에스베어링 (297090) 18,200원 (+18.95%) |
그린산업, 탈러시아 정책 본격화 수혜 및 단기 모멘텀 기대감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세기상사 (002420) 11,750원 (+16.34%) |
관리종목지정해제 모멘텀 지속에 급등 |
한국석유 (004090) 23,300원 (+15.35%)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국제유가 급등 속 석유류제품 제조업 및 도소매업 영위 부각에 급등 |
신라에스지 (025870) 11,800원 (+15.12%) |
러시아- 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에 따른 수산물 대체재 부각 및 수입 해산물 대란 우려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
컬러레이 (900310) 1,460원 (+14.51%) |
중국 내수펄 안료 시장 집중 공략 소식에 급등 |
SDN (099220) 2,210원 (+14.21%) |
그린산업, 탈러시아 정책 본격화 수혜 및 단기 모멘텀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이노테라피 (246960) 11,400원 (+12.87%) |
신규 기전 지혈제, 높은 경쟁력 보유 분석 등에 급등 |
CJ씨푸드 (011150) 4,090원 (+11.60%)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에 따른 수산물 대체재 부각 및 수입 해산물 대란 우려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
신테카바이오 (226330) 14,300원 (+11.28%) |
카이노스메드 파킨슨병 치료제 'KM-819' 美 특허 취득 소식 속 공동연구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
팜스토리 (027710) 2,885원 (+11.18%)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 및 글로벌 곡물가 강세 등에 사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흥구석유 (024060) 10,550원 (+10.59%)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국제유가 급등에 LPG 테마 상승 속 급등 |
에스에너지 (095910) 4,070원 (+10.00%) |
그린산업, 탈러시아 정책 본격화 수혜 및 단기 모멘텀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현대사료 (016790) 17,900원 (+9.82%) |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고조 속 밀 생산량 급감 우려 및 글로벌 곡물가 강세 등에 사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엠게임 (058630) 10,400원 (+9.82%)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글로벌 인기 MMORPG 나이트 온라인, 게임매니아 채널링 서비스 개시 소식에 급등 |
현대에너지솔루션 (322000) 24,950원 (+9.43%) |
그린산업, 탈러시아 정책 본격화 수혜 및 단기 모멘텀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지니언스 (263860) 10,650원 (+9.34%) |
러시아-우크라이나, 사이버 전쟁 심화 우려 등에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속 급등 |
제이스텍 (090470) 6,890원 (+9.19%) |
지난해 실적개선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대호에이엘 (069460) 3,570원 (+9.17%) |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긍정적 업종 분석 등에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
STX엔진 (077970) 15,650원 (+9.06%) |
조선기자재및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
* 코오롱글로벌(003070) - 2022년 사업연도 연결 기준 매출액 5.08조원, 영업이익 2,600억원 전망
* 트루윈(105550) - 한화시스템(주)과 13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5.84%) 규모 공급계약(적외선열영상카메라(퀀텀레드미니) 공급) 체결(계약기간:2022-03-02~2023-03-31)
* 엑세스바이오(950130) - F&E Medical과 163.8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45%) 규모 공급계약(COVID19 항원 자가진단키트) 체결(계약기간:2022-03-01~2022-03-12)
* 나인테크(267320) - LG전자 주식회사와 36.6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56%) 규모 공급계약(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2-28~2022-12-31)
* 애니플러스(31020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490.36억원(전년대비 +208.68%), 영업이익 130.09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09.6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미원홀딩스(107590) - 보통주 1주당 500원(시가배당율0.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F&F(383220) - 보통주 1주당 5,500원(시가배당율0.61%)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1주당 가액 500원을 100원으로 분할하는 주식분할 결정(상장예정:2022-04-13)
* 육일씨엔에쓰(191410) - 67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9.01%) 유형자산(경기도 안성시공도읍 기업단지로 122-39) 처분 결정(처분예정일:2022-03-31)
* 덕산네오룩스(213420) - 100억원 규모 자사주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03-02~2022-09-02, 한국투자증권(주)(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 현대건설(000720) - 주식회사 엠티브이반달섬씨식스개발과 5,061.4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98%) 규모 공급계약(시화MTV 반달섬 C61BL 생활숙박시설) 체결
* 아이엠(10139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528.65억원(전년대비 +4.48%), 영업이익 11.10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62.6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S-Oil(010950) - Idemitsu Kosan과 8,26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9%) 규모 공급계약(윤활기유) 체결(계약기간:2022-01-01~2026-12-31)
* 동양피스톤(09278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3,545.95억원(전년대비 +10.27%), 영업이익 104.81억원(전년대비 +513.71%), 순이익 76.51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KSS해운(044450) - 보통주 1주당 350원(시가배당율2.9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보통주 100,000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2-03-11). 보통주 118,399주(14.5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2-03-03~2022-03-31)
* 파라다이스(034230) - 2022년2월 카지노 매출액 170.74억원(전년동월대비 -5.7%)
* 누리플렉스(04016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855.82억원(전년대비 -22.19%), 영업이익 61.28억원(전년대비 +112.21%), 순이익 84.43억원(전년대비 +194.51%)
* 세보엠이씨(01156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4,338.22억원(전년대비 -32.34%), 영업이익 98.31억원(전년대비 +39.07%), 순이익 125.65억원(전년대비 +86.32%). 보통주 1주당 250원(시가배당율3.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KTB투자증권(030210) - 보통주 1주당 250원(시가배당율4.6%), 종류주 1주당 6,612원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팅크웨어(084730) -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12.24억원(전년동기대비 +26.89%), 영업이익 47.48억원(전년동기대비 -21.63%), 순이익 25.62억원(전년동기대비 -43.51%)
* 한국가구(004590) - 보통주 1주당 140원(시가배당율2.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제이엠티(09497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793.62억원(전년대비 -0.06%), 영업이익 163.42억원(전년대비 +51.66%), 순이익 151.74억원(전년대비 +185.87%). 보통주 1주당 150원(시가배당율3.8%)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카프로(006380) -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5,824.29억원(전년대비 +128.65%), 영업이익 36.0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9.57억원(전년대비흑자전환)
* 피엔티(137400) - 711.3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8.24%) 규모 공급계약(Installation of Electro Deposition Machine) 체결(계약기간:2022-03-02~2024-09-30)
* 태원물산(001420) - 보통주 1주당 55원(시가배당율1.0%)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제놀루션(225220) - 198.50억원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양수기준일:2022-05-02)
* 대모(31785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495.39억원(전년대비 +20.14%), 영업이익 5.24억원(전년대비 +584.46%), 순이익 46.07억원(전년대비 +1,286.50%). 보통주 1주당 180원(시가배당율3.4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휴네시온(290270) -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03-16~2023-03-15, NH투자증권)
* 제일연마(00156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797.47억원(전년대비 +8.99%), 영업이익 66.04억원(전년대비 +84.46%), 순이익 60.95억원(전년대비 +86.38%)
* 코다코(04607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2,515.10억원(전년대비 +27.92%), 영업이익 54.83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62.74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미창석유(003650) - 보통주 1주당 2,500원(시가배당율3.14%)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SG(255220) -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03-02~2022-09-02, 대신증권 (Daishin Securities))
* 쌍용차(003620) - 2022년2월 자동차 판매량 7,082대(전년동월대비 +153.9%)
* 씨앤투스성진(352700) - 80억원(자기자본대비 6.0%)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
* 씨엔플러스(11553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323.71억원(전년대비 +64.99%), 영업이익 3.08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50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부산산업(011390) - 보통주 1주당 250원(시가배당율0.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F&F홀딩스(007700) - 보통주 1주당 170원(시가배당율0.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현대차(005380) - 2022년2월 자동차 판매량 304,613대(전년동월대비 +1.4%.). 중장기 재무 목표 및투자(2022년 연결 영업이익률 목표 : 5.5~6.5% 수준 등) 계획
* 그린플러스(186230) -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Foldable Lightweight Roll Container) 관련 특허권 취득
* 두산중공업(034020) - 긴급운영자금(한도 3조원) 상환 완료
* 시큐브(131090) - "분할된 보안 모듈을 구비하는 컴퓨터 장치 및 보안 모듈 업데이트 방법" 관련 특허권 취득
3월 3일 목요일
1. 제롬 파월 美 연준 의장 상원 증언(현지시간)
2. 美) 2월 ISM 비제조업지수(현지시간)
3. 노을 신규상장 예정
4. 비씨엔씨 신규상장 예정
5. 디지털뉴딜 사업 설명회
6. 베페 베이비페어
7. 1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8. 1월 온라인쇼핑동향
9.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10. 3월 국고채 발행계획 및 2월발행실적 발표
11. 코람코더원리츠 공모청약
12. 신성이엔지 추가상장(BW행사)
13. 엔에스엔 보호예수 해제
14.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보호예수 해제
15. 美) 1월 공장주문(현지시간)
16. 美) 2월 합성 PMI 확정치(현지시간)
17. 美) 2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 현지시간)
18. 美) 4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확정치(현지시간)
19.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0. 美) 갭(GAP) 실적발표(현지시간)
21. 美) 베스트바이 실적발표(현지시간)
22.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의사록(현지시간)
23. 유로존) 2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4. 유로존)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25. 유로존) 1월 실업률(현지시간)
26. 독일) 2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7. 영국) 2월 CIPS / 마킷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8. 영국) 2월 외환보유액(현지시간)
29. 中) 2월 차이신 종합 PMI
30. 中) 2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
31. 日) 2월 소비자신뢰지수
32. 日) 2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
'경제 >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304 특징테마 (0) | 2022.03.04 |
---|---|
220303 특징테마 (0) | 2022.03.03 |
220210 특징테마 (0) | 2022.02.10 |
220203 특징테마 (0) | 2022.02.03 |
220124 특징테마(사료/LPG)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