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신중한 긴축 시사 발언 등에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애플(+2.06%)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1.78%) 등 컴퓨터, 아마존(+0.60%), 알파벳A(+0.38%), 메타(+2.27%) 등 인터넷, 엔비디아(+3.18%) 등 주요 기술주 관련 테마들이 대부분 상승했고, JP모건체이스(+2.07%), 뱅크오브아메리카(+1.62%), 웰스파고(+3.84%), 골드만삭스(+2.49%) 등 은행과 메트라이프(+3.06%) 등 보험 테마도 美 국채금리 급등 속 상승. 국제 유가 폭등세 지속 속 엑슨모빌(+1.72%), 셰브론(+2.95%) 등 정유, 다우케미칼(+3.62%)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이 외 AT&T(+1.23%) 등 통신, 화이자(+4.26%) 등 제약/바이오, 스타벅스(+2.92%) 등 음식료, 룰루레몬(+4.72%) 등 소비재, 홈데포(+2.22%) 등 유통, 페덱스(+2.02%) 등 물류, 델타 항공(+1.06%) 등 항공, 에어비앤비(+4.32%) 등 여행, 라스베가스샌즈(+10.17%) 등 카지노, 포드(+8.38%) 등 자동차, US스틸(+3.93%) 등 철강, 캐터필러(+5.35%) 등 산업재 테마 등도 상승.
반면, 코인베이스(-0.85%) 등 암호화폐, 알리바바(-1.56%) 등 전자상거래, 넷플릭스(-1.61%) 등 미디어, 니콜라(-1.44%) 등 수소차, 퓨얼셀에너지(-0.49%) 등 연료전지 등의 테마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 한편, 테슬라(+1.80%)가 상승한 반면, 리비안(-13.49%)은 목표주가 하향 조정 및 차량 가격 인상 발표 속 급락하는 등 전기차 테마는 등락이 엇갈림.
3월 3일 목요일
1. 제롬 파월 美 연준의장 상원 증언(현지시간)
2. 美) 2월 ISM 비제조업지수(현지시간)
3. 노을 신규상장 예정
4. 비씨엔씨 신규상장 예정
5. 윤석열·안철수 대선 후보, 야권 후보 단일화 선언 예정
6. 디지털뉴딜 사업 설명회
7. 베페 베이비페어
8. 1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9. 1월 온라인쇼핑동향
10.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11. 3월 국고채 발행계획 및 2월 발행실적발표
12. 코람코더원리츠 공모청약
13. 신성이엔지 추가상장(BW행사)
14. 엔에스엔 보호예수 해제
15.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보호예수 해제
16. 美) 1월 공장주문(현지시간)
17. 美) 2월 합성 PMI 확정치(현지시간)
18. 美) 2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19. 美) 4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확정치(현지시간)
20.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1. 美) 갭(GAP) 실적발표(현지시간)
22. 美) 베스트바이 실적발표(현지시간)
23.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의사록(현지시간)
24. 유로존) 2 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5. 유로존)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26. 유로존) 1월 실업률(현지시간)
27. 독일) 2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8. 영국) 2월 CIPS / 마킷 서비스업 PMI 확정치(현지시간)
29. 영국) 2월 외환보유액(현지시간)
30. 中) 2월 차이신 종합 PMI
31. 中) 2월 차이신 서비스업 PMI
32. 日) 2월 소비자신뢰지수
33. 日) 2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 시황 | |
▷서울시, 아파트 35층 층고제한 폐지 소식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리모델링/인테리어 등 테마 상승. ▷자동차, 휴대폰 등 소비재 러시아수출통제 예외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 부품, 스마트폰, 휴대폰부품, 갤럭시 부품주, 아이폰 등 테마 상승. ▷러시아 제재에 따른 中 디지털 위안화 확대 가능성 부각 등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바이든 美 대통령, 반도체 투자안통과 촉구 소식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등에 반도체 대표주,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국제유가 11년만에 최고치 기록 등에 일부 정유 및 LPG, 석유화학 등 테마 상승. ▷유연탄 가격 폭등 속 시멘트/레미콘업체 단가협상 본격화 소식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글로벌 철강가격 상승 등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현대차/기아 전동화 체제 가속화 소식 등에 전기차, 2차전지 테마 상승. ▷사교육 의존도 확대 수혜기대감 등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석탄 가격 최고치 기록 소식 속 자원개발 테마 상승. ▷서울 전역 61개 하천 공간 재편 소식 등에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테마 상승. ▷덴티움 지난해 4분기 호실적 및 저평가 분석 속 급등, 러시아-우크라이나 리스크 제한적 분석, 전일 대선 TV토론서 임플란트 4개 지원 확대 재부각 속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美 국채금리 급등 속美 금융주들이 반등한 가운데, 은행, 손해보험, 생명보험 등 금융 테마 상승. ▷쿠팡 지난해 매출 22조원 돌파, 16분기 연속 성장 속 쿠팡 관련주 상승. ▷윤석열, 안철수 대선 후보 단일화 선언 소식에 정치/인맥(윤석열), 정치/인맥(안철수)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강세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크래프톤 관련주, 4대강 복원, 무선충전기술, SNS, 해저터널, 바이오시밀러, 종합상사, 페인트,유전자 치료제/분석, 스마트카,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바일게임, 해운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속 7조원 규모 수주대금 회수 불확실성 부각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속 최근 강세 흐름을 나타냈던 도시가스, 사료, 수산 테마 차익 실현 매물 속 하락. ▷이 외 제4이동통신, 구제역/광우병 수혜, 출산장려정책,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드론 등 일부 테마만 하락. |
|
건설, 리모델링/인테리어 | 서울시, 아파트 35층 층고제한 폐지 소식에 상승 |
▷서울시는 이날 서울 내 주거지역 35층룰 폐지 등의 내용이 담긴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발표. 서울시는 용도지역별 층수제한을 삭제하고, 개별단지별 정비계획에 따라 유연한 스카이라인을 조성할 방침이며, 신(新)용도지역체계( 비욘드 조닝)를 마련해 업무·여가·상업·주거 등으로 복합화되는 도시공간을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에 따라 압구정·여의도·성수·이촌 등에서도 초고층 재건축의 길이 열린다고 언급. ▷서울시는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공청회, 국토교통부 등 관련 기관·부서 협의,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각계각층 의견을 청취하고, 연말까지 최종 계획안을 확정할 방침임. ▷이 같은 소식에 대우건설, 현대건설, 신원종합개발, 아이에스동서 등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 및 벽산, LX하우시스, 한샘 등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스마트폰 등 | 휴대폰·자동차 등 소비재 러시아수출통제 예외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기위해 시행한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의 적용 대상에 휴대전화, 자동차, 세탁기 등 소비재는 예외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짐.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美 상무부가 스마트폰·완성차·세탁기 등은 FDPR 적용 대상이라고 해도 원칙적으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재라고 했다며, 군사 관련 사용자에게 가는 수출이 아닌 한 예외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언급했음. ▷아울러 우리 기업의 러주재 자회사(현지공장)로의 수출은 미국의 거부원칙(policy of denial)의 예외로서 사안별 심사(case-by-case)를 통해 허가 가능성이 있다며, 베트남 등 제3국에 소재한 우리 기업의 자회사로부터 러시아 소재 자회사로의 수출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밝힘. ▷한편, 현재 미국의 고강도 제재에 보조를 맞춰 러시아에 대한 독자제재에 나선 유럽연합(EU) 27개국과 호주,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영국 등 32개국은 FDPR 적용의 예외를 인정받았지만, 러시아 제제에 뒤늦게 동참한 아직 한국은 받지 못한 상태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현대차, 만도, 기아, 포메탈, 화신 등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시노펙스, LG이노텍, 모베이스, 한솔테크닉스 등 스마트폰/갤럭시 부품주/휴대폰부품/아이폰 등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특히, 현대차, 기아는 전동화 체제 가속화 소식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
|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 러시아 제재에 따른 中 디지털 위안화 확대 가능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배제로 달러화 거래가 막히면서 위안화, 특히 디지털 위안화가 급부상할 가능성이 부각되는 모습. 디지털 위안화는 중국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법정 디지털화폐로 베이징, 상하이, 하이난, 쑤저우, 청두 등 중국의 10개 도시에서 시범 도입돼 있는 상황이며 ,디지털 위안화 앱은 지난 1월초 출시 직후 애플 및 샤오미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차트 1위를 한 데 이어 1,70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고 활성 사용자 수는 500만명에 달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한네트,케이씨에스, 케이씨티, 로지시스 등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반도체 관련주 | 바이든 美 대통령 반도체 투자안 통과 촉구 속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급등 등에 상승 |
▷현지시간 2일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의 신중한 긴축 시사 발언 및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급등세를 기록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바이든 대통령의 반도체 투자안 통과 촉구 소식 등에 급등세를 보임.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1.31(+3.37%) 급등한 3,416.16을 기록.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국정연설에서 반도체와 자동차의 미국 내 생산을 강조하면서 반도체산업에 520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투자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라고 의회에 촉구했음. ▷신한금융투자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소재인 반도체 공급부족 시대에 진입했다고 밝힘. 비메모리는 공급부족을 처음 경험하고 있으며, 메모리도 외부 변수를 이겨내면서 Big Cycle을 재현할 전망이라고 밝힘. 2021~22년 공급 부족을 일회적 요인으로 해석하면 안된다며, 수요와 공급에서 구조적 요인이 맞물리고 있으며 공급부족이 한번 발생하면 장기화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유진테크, 원익IPS, 하나마이크론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
|
정유/LPG(액화석유가스)/석유화학 | 국제유가 11년만에 최고치 기록 등에 상승 |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OPEC+ 증산 유지 결정 속 지정학적우려 지속 등에 급등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7.19달러(+6.95%) 급등한 110.60달러에 거래 마감했으며, 이는 2011년 5월 이후 11년만에 최고치임. ▷러시아-우크라이나 지정학적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외신에 따르면 OPEC+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원유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진 점과 IEA의 비축유 방출을 고려해 4월 증산 규모를 기존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에 따라 회원국들은 4월 한달동안 하루 평균 40만 배럴씩 증산하기로 한 기존 계획을 이어갈 것으로 알려짐. ▷하나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의 에너지 산업은 실질적으로 경제제재를 받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한 유럽 가스 가격의 폭등은 대체 발전용 석유제품 수요를 자극하는 요인이라고 설명. 또한, 러시아의 정제설비 M/S 7%와 러시아 원유 의존도가 25~30%로 높은 유럽 정제설비의생산 타격 등을 감안하면 글로벌 석유제품 생산량도 감소할 가능성이 높으며, 연간 정제마진 강세를 전망하는 이유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SK이노베이션, GS, 대성산업, 효성화학 등 일부 정유/LPG(액화석유가스) 및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시멘트/레미콘 | 시멘트/레미콘 업체 단가협상 본격화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사태로 전체 유연탄 수입의 75% 차지하는 러시아산 유연탄의 수입이 중단되면서 시멘트 업계는 생산원가 상승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유연탄 가격(동북아CFR 기준)은 지난해 12월3일 기준 톤당 129.44달러에서 지난달 25일 199.55달러로 3개월 만에 54% 상승했으며, 시장에서는 빠른 시일 내 톤당 200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지난 1월 쌍용C&E와 한일/한라/삼표/성신양회 등 주요 시멘트 업체들은 레미콘 업체들에게 17~19% 가격인상을 통보했으며, 지난달 28일 본격적인 단가협상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아세아시멘트, 성신양회, 한일시멘트 등 시멘트/레미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 글로벌 철강가격 상승 등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에 상승 |
▷현대차증권은 철강 업종에 대해 글로벌 철강가격 상승으로 투자심리 개선이 기대된다고밝힘. 전세계 철강가격 반등 및 주요 철강사들이 3월 내수가격을 인상했고 국내 주요 철강업체들도 내수가격 인상에 동참했다며, 철강업종 주가와 동행하는 철강가격 상승은 투자심리에 긍정적이라고 분석. ▷아울러 지난해 하반기 철강 스팟가격의 약세는 글로벌 철강 수요가훼손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수요가들의 재고 소진의 영향이 더 컸다고 판단되며, 단기적으로 수요가들의 재고축적 수요와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하면서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고 전망. ▷이와 관련 세아베스틸, 동국제강, POSCO, 경남스틸, TCC스틸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전기차/2차전지 | 현대차·기아, 전동화 체제 가속화 소식 등에 상승 |
▷현대차는 전일 '2022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오는 2030년 17종 이상의 전기차를 투입하고, 이 기간 글로벌 전기차 판매는 187만대까지 늘리기로 발표함. 특히, 전기차 수요 집중 지역 내 생산 확대,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및 배터리 모듈화 등을 포함한 배터리 종합 전략 추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EV 상품성 강화 등의 중장기 전동화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음.아울러 기아는 금일 14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해 2030년에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120만대를 판매하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내놓았음. ▷신한금융투자는 2차전지 셀 업체들의 Capa증설로 2차전지 셀은 2021년 현재 초과 공급 상태이지만, 전기차 수요 폭증이 예상되는 2023년부터는 초과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고 밝힘. 따라서 2023년 이후를 대비한 공격적인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셀 업체들의 Capa증설에 따른 2차전지 장비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전망. ▷한편, 美 포드(Ford)는 현지시간 2일 전기차 회사로 변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기차 사업부문과 내연기관차 사업부문을 분사한다고 밝힘. 포드는 올해 전기차 개발에 5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오는 2026년까지 500억 달러를 투입할 방침이며, 이를 통해 2026년까지 연 200만대 수준의 전기차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엠플러스, 우수AMS, 브이원텍, 피엔티, 신성델타테크 등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교육/온라인 교육 | 사교육 의존도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교보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사교육 의존도는 계속 높아질 것으로 전망. 이는 학생들과학부모들이 해마다 바뀌는 듯한 복잡한 입시제도에 혼란을 느끼며, 이어지는 정책변수에 입시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교육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대입을 치를 2028년부터 미래형 대입 제도가 시행될 것이라고 밝힘. 미래형 대입 제도로는 서술형 수능의 도입, 절대평가 전환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향은 미정이며 2024년에발표될 것으로 전망. 늦어도 고입과 함께, 빠르면 중학교 때부터 대입 전략을 세우기 때문에 변화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2028 대입에는 사교육의 영향력이 더욱 강력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메가스터디교육, 삼성출판사, 아이스크림에듀 등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자원개발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에 따른 석탄 가격 최고가 기록 소식 등에 상승 |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석탄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CNN은 호주 뉴캐슬 발전용 석탄 선물 가격이 이날 t당 446달러로 하루 만에 t당 140.55달러, 약 46% 뛰어올라 2008년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고 밝힘. 뉴캐슬 발전용 석탄 선물 가격은 지난해 3월 최저가인 t당 80.50달러까지 추락한 뒤 차츰 오르다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수급 불안 우려로 가파르게 치솟고 있음. ▷시장에서는 전 세계 석탄 수출량의 약 17%를 차지하는 러시아를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수급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석탄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GS글로벌, 넥스트BT,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자원개발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 서울 전역 61개 하천 공간 재편 소식에 상승 |
▷서울시는 디지털 대전환시대 미래공간전략을 담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발표. 서울시는 한강과 안양천·중랑천 등 국가하천, 탄천·도림천 등 지방하천을 포함한 61개 하천의 물길과 수변지역을 시민생활의 중심으로 재편한다고 밝힘. 소하천·지류는 수변테라스 카페, 쉼터, 공연활동 등을 통해 시민의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수변친화 생활공간을 만들고, 4대 지천은 특화거점을 명소로 조성함과 동시에 배후주거지와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언급. ▷한강의 경우 수변과 도시공간 간 경계를 허물고 업무·상업·관광의 중심으로 자리매김시킨다는 방침이며, 특히, 여의도·압구정 등 한강변 대규모 정비사업과 연계해서 계획 단계부터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자연과환경, 시노펙스, 삼성엔지니어링 등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정치/인맥(윤석열, 안철수) | 윤석열·안철수 후보 단일화 선언에 상승 |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이날 새벽 전격 회동하고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음. 양 후보는 이날 오전 8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오늘 단일화 선언으로 완벽한 정권교체가 실현될 것임을 추호도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반드시 정권교체를 이뤄, 오직 국민의 뜻에 따라, 대한민국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대전환의 시대를 준비해 나가겠다"고언급. ▷안 후보는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기로 했다"고 밝혔고, 윤 후보는 "안 후보의 뜻을 받아 반드시 승리해 함께 성공적인 국민통합정부를 반드시 만들고 성공시키겠다"고 밝힘. 또한, 이들은 대선 뒤 즉시 합당도 추진키로 합의했음. ▷이 같은 소식 속 덕성, 서연, NE능률, 대덕 등 정치/인맥(윤석열) 및 안랩, 써니전자 등 정치/인맥(안철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특히, 삼부토건은 정치/인맥(윤석열) 관련주로 부각 및 경영권 지분 매각(M&A) 추진 사실 부각 지속에 급등세를 기록. ▷반면, 이스타코, 에이텍, 형지엘리트, 토탈소프트, 오리엔트정공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는 하락세를 기록. |
|
조선/조선기자재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속 7조원 규모 수주대금 회수 불확실성 등에 하락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길어지면서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국내 조선사들이 러시아로부터 수주대금을 떼일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음.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가 오는 12일부터 러시아 은행 7곳 등을 결제망에서 차단할 것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러시아로부터 7조원이 넘는 수주를 기록한 국내 조선사들이 잔금을 회수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현재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3사가 러시아로부터 수주한 LNG선 등과 관련 계약 규모는 7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HSD엔진, STX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 |
종 목 | 사유 |
판타지오 (032800) 782원 (↑29.90%) |
스튜디오드래곤과 120.34억원 규모 드라마 제작 계약 체결에 상한가 |
넥슨지티 (041140) 23,900원 (↑29.89%) |
김정주창업주 별세 속 넥슨 지배구조 변화 및 매각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
이지트로닉스 (377330) 19,150원 (↑29.83%) |
현대차·기아, 전동화 체제 가속화 소식 등에 전기차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넷게임즈 (225570) 22,900원 (↑29.75%) |
김정주창업주 별세 속 넥슨 지배구조 변화 및 매각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
덴티움 (145720) 74,900원 (+20.42%) |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속 지난해 4분기 호실적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30,050원 (+18.31%) |
이중면역항체 'ABL111'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소식에 급등 |
한네트 (052600) 9,980원 (+17.55%) |
러시아 제재에 따른 中 디지털 위안화 확대 가능성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케이씨에스 (115500) 7,430원 (+17.38%) |
러시아 제재에 따른 中 디지털 위안화 확대 가능성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삼목에스폼 (018310) 20,500원 (+16.81%) |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 상승 속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급등 |
국전약품 (307750) 8,800원 (+12.24%) |
러시아 MSCI 신흥국 퇴출 속 반사이익 기대감 부각에 급등 |
한국선재 (025550) 6,630원 (+12.18%) |
종속회사 한선엔지니어링, 블룸SK퓨얼셀 부품공급업체로 선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아프리카TV (067160) 151,000원 (+11.69%) |
BBIG K-뉴딜지수에 신규 편입 소식에 급등 |
진원생명과학 (011000) 16,300원 (+11.26%) |
2024년 매출 1조원 달성 기대감 재부각 등에 급등 |
비아트론 (141000) 10,700원 (+11.11%) |
애플카에韓 FC-BGA 기판 탑재 소식 속 FC-BGA 기판 제작시 필수적인 '진공 오토 라미네이터' 장비 개발 사실 부각에 급등 |
삼부토건 (001470) 2,425원 (+10.98%) |
임단협 무분규 타결에 따른 M&A 기대감 및 윤석열·안철수 후보 단일화 선언 속 정치/인맥(윤석열)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진양화학 (051630) 7,140원 (+9.85%) |
서울시, 아파트 35층 층고제한 폐지 소식에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 상승 속 급등 |
멜파스 (096640) 980원 (+9.38%) |
휴대폰·자동차등 소비재 러시아 수출통제 예외 소식에 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급등 |
경남스틸 (039240) 4,345원 (+8.90%) |
글로벌 철강가격 상승 등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
셀트리온제약 (068760) 95,300원 (+8.67%) |
셀트리온 그룹, 분식회계 혐의 고의성 불인정 가능성 부각에 급등 |
디아이씨 (092200) 5,330원 (+8.55%) |
전기차 및 자동차 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포메탈 (119500) 5,480원 (+8.51%) |
휴대폰·자동차 등 소비재 러시아 수출통제 예외 소식에 자동차 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자연과환경 (043910) 1,365원 (+8.33%) |
서울 전역61개 하천 공간 재편 소식에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테마 상승 속 급등 |
TCC스틸 (002710) 11,100원 (+8.29%) |
2차전지 및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
아세아시멘트 (183190) 158,500원 (+8.19%) |
시멘트/레미콘 업체 단가협상 본격화 소식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속 급등 |
AP시스템 (265520) 24,450원 (+8.19%)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지난해 4분기 및 연간 실적 개선 등에 급등 |
바이넥스 (053030) 15,350원 (+8.10%) |
지난해 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및 올해 고성장 전망 등에 급등 |
두산 (000150) 120,500원 (+8.07%) |
美 모반디와 5G 안테나 모듈 사업 진출 소식에 급등 |
HB솔루션 (297890) 18,900원 (+8.00%) |
374.1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7.49%) 규모 공급계약(장비) 체결에 급등 |
* 화신(010690) -보통주 1주당 70원(시가배당율0.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현대중공업(329180) - 유럽 소재 선사와 8,47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19%) 규모 공급계약(LNGC 3척) 체결(계약기간:2022-03-02~2025-12-31)
* 화신정공(126640) - 보통주 1주당 30원(시가배당율1.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대신정보통신(020180) - 조달청과 137.7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1%) 규모 공급계약(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클라우드 운영 및 유지관리 용역계약) 체결(계약기간:2022-03-02~2023-12-31)
* 판타지오(032800) - 스튜디오드래곤(주)과 120.3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3%) 규모 공급계약(드라마 제작 계약) 체결(계약기간:2022-03-02~2022-08-31)
* 알서포트(131370) - 보통주 1주당 40원(시가배당율0.50%)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에스앤에스텍(101490) - 200억원(자기자본대비 12.16%)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
* 스틱인베스트먼트(026890) - 전문화된 사업영역에 기업의 역량을 집중 및 재무구조의 개선 목적으로 디피씨 주식회사(DIGITAL POWER COMMUNICATIONS CO.,LTD.) 지분 전량(20,000,000주)을 700.17억원에 양도하기로 결정(양도예정일:2022-03-10). 펀드출자를 통한 수익성 추구 목적으로 스틱 이노베이션 펀드 주식 10,000주를 1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4.69%, 취득예정일:2022-03-23)
* 아이퀘스트(262840) -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156.77억원(전년대비 +2.66%), 영업이익 36.08억원(전년대비 -25.98%), 순이익 35.23억원(전년대비 -31.42%)
* 한농화성(011500) - 보통주 1주당 230원(시가배당율1.4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HB솔루션(297890) - Samsung Display Vietnam(SDV)과 374.1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7.49%) 규모 공급계약(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3-01~2022-12-01)
* 푸른저축은행(007330)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신탁계약 연장 결정(기간:2022-03-04~2023-03-03, 주식회사 하나은행(KEB Hana Bank))
* 코윈테크(282880) - 글로벌 대형기업과 74.9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6.53%) 규모 공급계약(스마트 무인 자동화 설비) 체결(계약기간:2022-03-02~2023-10-01)
* 대한제당(001790) - 보통주 1주당 110원(시가배당율3.6%), 종류주 1주당 115원(시가배당율3.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AP시스템(265520) - 보통주 1주당 240원(시가배당율0.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21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741.85억원(전년동기대비 -2.48%), 영업이익 197.61억원(전년동기대비 +58.63%), 순이익 142.84억원(전년동기대비 +2,097.53%).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5,287.40억원(전년대비 -10.65%), 영업이익 643.05억원(전년대비 +38.95%), 순이익 571.66억원(전년대비 +129.11%)
* 동성화인텍(033500) - 보통주 1주당 350원(시가배당율3.0%)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동양(001520) - (주)유진디랩과 458.5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6%) 규모 공급계약(인천 구월동 오피스텔 신축공사) 체결
* 동방(00414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5,959.43억원(전년대비 +0.65%), 영업이익 277.50억원(전년대비 +12.85%), 순손실 0.5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한화투자증권(003530) -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3.2%), 종류주 1주당 250원(시가배당율1.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다우데이타(032190) - (주)이머니가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 담보제공 계약 체결(채무금액:260억원, 담보설정금액:454.74억원)
* 키이스트(05478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에스엠스튜디오스(최대주주) 대상 1,229,509주(1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2,200원, 상장예정:2022-03-31)
* S&K폴리텍(091340)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3,309.97억원(전년대비 +29.81%), 영업이익 67.46억원(전년대비 +92.74%), 순이익 51.45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새론오토모티브(075180) - 보통주 1주당 140원(시가배당율2.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276.05억원(전년대비 -5.93%), 영업이익 3.26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40.25억원(전년대비 +127.88%)
* 강원에너지(114190) - CTEP Japan Limited Liability Partnership과 188.6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9.20%) 규모 공급계약(WASTE HEAT BOILER AND REACTION FURNACE) 체결(계약기간:2022-03-02~2024-12-31)
* 기아(000270) - 중장기 재무목표 및 투자(2026년 손익 가이던스 판매대수 목표 : 386만대 등) 계획
* 흥국(010240) -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2.7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 차바이오텍(085660) -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요법을 종료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CBT101'의 내약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1상임상시험 결과(Topline Data 수령)
3월 4일 금요일
1. 중국 양회(兩會)
2. 美) 2월고용동향보고서(현지시간)
3.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5. 물가관계장관회의 예정
6. 거리두기 완화 방안 발표 예정
7. 4분기 예금취급기관
8. 1월 외환보유액
9. 2월 소비자물가동향
10. 누보, 스팩합병 상장 예정
11. 마이더스AI 변경상장(주식병합)
12. 에이프로 추가상장(무상증자)
13. 두산중공업 추가상장(유상증자)
14. 대유 추가상장(유상증자)
15. 포티스 추가상장(유상증자)
16. 피코그램 추가상장(BW행사)
17. 시스웍 추가상장(BW행사)
18. 키다리스튜디오 추가상장(CB전환)
19. 알파홀딩스 추가상장(CB전환)
20. 이지트로닉스 보호예수 해제
21.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22. 유로존) 1월 소매판매(현지시간)
23. 독일) 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24. 日) 1월 실업률
'경제 >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307 특징테마 (0) | 2022.03.07 |
---|---|
220304 특징테마 (0) | 2022.03.04 |
220302 특징테마 (0) | 2022.03.02 |
220210 특징테마 (0) | 2022.02.10 |
220203 특징테마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