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특징테마

220318 특징테마

by Neya31 2022. 3. 19.
728x90
반응형
 
미국시장 테마시황
3/17(현지시간) 뉴욕증시가 FOMC안도감 지속 및 러시아 디폴트 우려 완화 등에 상승한 가운데,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국제 유가 폭등 속 엑슨 모빌(+2.66%), 셰브론(+1.73%), 다우(+5.37%) 등 정유/화학 테마가 상승했고, 금 가격 반등 속 뉴몬트 마이닝(+0.96%) 등 (金) 테마가 상승. 애플(+0.65%)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0.28%) 등 컴퓨터, 아마존(+2.70%), 알파벳A(+0.42%), 메타(+2.07%) 등 인터넷, 넷플릭스(+3.88%) 등 미디어, 테슬라(+3.73%) 등 전기차 등 주요 기술주 관련 테마가 상승.

이 외 줌 비디오(+4.17%) 등 S/W 및 IT서비스, 쿠팡(+6.14%), 페이팔(+3.93%) 등 전자결제, 트위터(+5.46%) 등 SNS, 로블록스(+11.66%) 등 컴퓨터게임, 일라이 릴리(+3.28%) 등 제약/바이오, 유나이티드헬스(+1.76%) 등 헬스케어, 뱅크오브아메리카(+0.54%) 등 은행, 아메리칸 익스프레스(+3.52%) 등 카드, 메트라이프(+0.96%) 등 보험, 홈 데포(+1.65%) 등 유통, 니콜라(+5.90%) 등 수소차, 퓨얼셀에너지(+3.23%) 등 연료전지, 디어(+4.62%), 레이시온 테크놀로지(+2.04%) 등 산업재/기계/방위, 발레(+5.35%) 등 광산, US STEEL(+5.59%) 등 철강 테마가 상승.

반면, 中 빅테크 기업 우려 완화 속 전일 폭등세를 보였던 JD닷컴(-3.34%), 알리바바(-4.39%) 등이 하락하는 등 전자상거래 테마가 하락.
 
오늘의 이슈&테마 스케줄
3월 18일 금요일
1. 유일로보틱스 신규상장 예정
2. 美) 2월 기존주택판매(현지시간)
3. 美)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현지시간)
4.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5. 바이든·시진핑 전화 통화 예정(현지시간)
6. 중국 선전, 봉쇄 조치 부푼 해제 예정
7. 영국, 입국 규제 해제 예정(현지시간)
8. 한-UAE 국방장관 회담
9.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예정
10. 국내 면세점 구매 한도 폐지 예정
11. 거래소, "스톡옵션 처분 제한" 상장 규정 개정안 시행 예정
12.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노동조합과 임금 교섭 예정
13. 삼성전자,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 사전판매 개시 예정
14. 스트레이키즈 컴백 예정
15. 국고채 50년물 입찰 예정
16. 3월 최근 경제동향
17. 국제약품 권리락(무상증자)
18. 루트로닉 추가상장(주식전환)
19. 시스웍 추가상장(BW행사)
20.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21. 엔케이맥스 추가상장(CB전환)
22. 대유 추가상장(CB전환)
23. 호전실업 추가상장(CB전환)
24. 삼강엠앤티 추가상장(CB전환)
25. 파크시스템스 추가상장(CB전환)
26. SGA솔루션즈 추가상장(CB 전환)
27. CBI 추가상장(CB전환)
28. 엔투텍 추가상장(CB전환)
29. 이더블유케이 추가상장(CB전환)
30. 모베이스전자 추가상장(CB전환)
31. 국보 추가상장(CB전환)
32. 코스나인 보호예수 해제
33.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보호예수 해제
34. 美) 2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35.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36. 유로존) 4분기 노동비용지수(현지시간)
37. 유로존) 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38.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2일차
39. 日) 1월 3차산업지수
40. 日)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특징 테마
특징 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美 철강 232조 세부 요건 개선 추진 소식, 러-우크라 사태 장기화 등에 철강/강관업체 테마 상승.

국제유가 급등, 100달러 재돌파 등에 정유/LPG 테마 상승.

삼성,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유연탄 가격 상승 속 공급 대란우려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컬리, 상장예비심사청구서 3월28일 제출 계획 등에 마켓컬리 관련주 상승.

펄어비스, 작년 판호 받은 中 검은사막 모바일 4월 출시 소식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동반 상승.

모더나, 美 FDA에 모든 성인 4차 백신 승인 신청 등에 코로나19(모더나) 테마 상승.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금일 첫 인수위 회의를 주재한 가운데, 향후 안 위원장이 국무총리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되며 정치/인맥(안철수) 테마 상승.

▷이 외 스마트팩토리,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제대혈, 3D 프린터, 콜드체인, 공작기계, 마리화나(대마), 코로나19(스푸트니크V), 리비안 관련주, 비료, LED장비, 손해보험, 농업, 태풍 및 장마, PCB(FPCB 등), 두나무 관련주, 사료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국제유가 급등 속 비용 부담 우려 등에 일부 항공/여행 테마 하락.

▷이 외 면세점, 화학섬유,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밥솥,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키오스크, 자전거, 리모델링/인테리어, 건설 중소형, 원자력발전, 코로나19(나파모스타트), 탈모 치료 관련주, 테마파크, 타이어, 백화점, 페인트, 카지노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철강/강관업체(Steel pipe) 美 철강 232조 세부 요건 개선 추진 소식, 러- 우크라 사태 장기화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산 철강의 대미 수출 물량(쿼터) 제한 조치(무역 확장법 232조)에 대한 재협상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가운데, 정부도 전면 재협상보다는 기존 쿼터제의 세부 요건을개선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짐. 이에 시장에서는 재협상을 하게 될 경우 국내 수출 물량이 축소될 수 있다며 전면 재협상보다기존 쿼터제의 세부 요건 개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짐.

앞서 미국은 일본과의 철강 관련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재협상을 통해 125만t 규모의 일본산 철강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했음. 무관세 기준인 125만t은 일본이 2018~19년 미국에 수출한 수준의 물량으로 우리나라가 일본과 같은 조건으로 재협상을 할 경우 오히려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물량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전일 현대차증권은 유럽 철강 가격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아시아 지역보다 큰 폭으로 인상되고 있다며,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2 분기 아시아 철강 가격 인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기대감 속 수요 증가 전망도 시장에서 부각.

▷이러한 소식에 세아제강, KG동부제철 등 철강 주요종목, 동일제강, 금강철강 등 철강 중소형, 하이스틸강관업체(Steel pipe)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정유/LPG(액화석유가스) 국제유가 급등, 100달러 재돌파 등에 상승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원유공급 부족 우려 등에 급등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7.94달러(+8.35%) 급등한 102.98달러에 거래 마감. 현지시간으로 16일 국제에너지기구(IEA) 의 월간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석유 회사, 무역 회사 및 해운 회사들의 수요 감소로 러시아가 오는 4월 중 하루 300만 배럴의 생산량을 제한해야 할 수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시장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른 수출국들이 더 많은 양을 생산하지 않는다면 세계 시장이 큰 공급 위기에 처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모습.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원유 수요가 하루 60만 배럴가량 줄어들 것이지만, 4월부터 러시아 원유 생산이 하루 100만 배럴가량 줄어들것으로 예상된다며 3분기 브렌트유 가격 전망을 배럴당 120달러로 종전 전망치보다 20달러 상향 조정했음.

아울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 추가 공격을 감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휴전이 결렬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국제유가에 상방압력을 가함.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중앙에너비스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반면, 진에어 등 일부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유가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 우려 등에 하락했으며, 하나투어, 인터파크여행 테마도 하락세를 기록.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삼성,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지난 16일 개최된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에서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향후 신성장 육성 사업으로 ‘로봇’과 ‘메타버스’를 언급했으며, 특히 신사업의 첫 행보는 로봇 사업이 될 것이라고 발언. 이에 이베스트투자증권은 글로벌 경기가 저성장 국면에 들어서면서 제조업 및 서비스업 전반에서 자동화와 무인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기술 발전에 기반한 로봇의 적용 범위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

다만, 국내에 상장된 로봇기업들이 주로 사업을 영위하는 영역은 산업로봇이기에 삼성의 신사업 추진이 국내 기업들에 직접적인 수혜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로보틱스 기술 및 제품 수요 확대 여력은 크다고 판단하며, 확장성 면에서 산업 로봇보다는 서비스 로봇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비교적 더 높게 평가한다고 밝힘. 아울러 삼성전자의 신사업 청사진 역시 로봇시장에 대한 높은 확장성과 수요를 가늠한 계획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금일 신규 상장유일로보틱스에스피시스템스, 에브리봇, 트윔, 마인즈랩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전일에 이어 상승세를 기록. 한편, 반려로봇 기업 서큘러스를 관계사로 두고 있는 디와이도 시장에서 부각.
시멘트/레미콘 유연탄 가격 상승 속 공급 대란 우려 등에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시멘트 생산의 연료가 되는 유연탄의 가격이 지난 7일(현지시간) 톤(t)당 427 달러로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전일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건설산업에 미칠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를 발간. 보고서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유가와 유연탄 가격이 급등해 건축물과 일반 토목시설 공사비용이 각각 지난해 대비1.5%, 3%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

올해 3월 1∼11일까지 유연탄 가격은 89.4% 상승했으며, 유연탄은 시멘트 연료로 사용되는데, 국내에 수입되는 유연탄의 약 75%가 러시아산이라고 밝힘. 건설사의 영업이익률이 2.5∼5%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증가가 전체 수익의 3분의 1 이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 또한, 레미콘, 아스콘 및 아스팔트, 철근 및 봉강(철근 보강용 자재) 순으로가격 상승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쎄니트, 성신양회, 고려시멘트시멘트/레미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마켓컬리 관련주 컬리, 상장예비심사청구서 3월28일 제출 계획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는 이날 한국거래소와 상장 관련 마지막 조율을 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상장예비심사청구서는 오는 28일 제출할 예정이며, 통상적으로 상장 예심 청구 이후 실제 시장 입성까지 4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7월 말이나 8월 초에 컬리 주식을 코스피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컬리의 기업가치는 지난해 말 2,500억원 투자 유치 과정에서 평가받은 4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

특히, 그동안 상장 과정에서 걸림돌이 됐던 김슬아 컬리 대표의 낮은지분율 관련 문제가 주요 재무적 투자자와 협의를 통해 해결된 것으로 알려짐. 컬리는 주요 재무적 투자자(FI)들과 협의해 거래소가 제시한조건에 맞춰 김 대표 지분을 포함한 20% 주식에 대해서는 상장 이후 18개월 동안 보호예수하기로 했으며, 김 대표 지분은 3년 동안 팔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지어소프트, 흥국에프엔비, 케이씨피드마켓컬리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사유
오토앤
(353590)

18,850원
(↑30.00%)
대기업 중고차 시장 진출 허용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한가
유일로보틱스
(388720)

26,000원
(↑30.00%)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신규 상장 첫날 상한가
서울리거
(043710)

2,045원
(↑29.84%)
세심컨소시엄, 디오 경영권 인수 속 컨소시엄 참여 사실 지속 부각에 상한가
에스피시스템스
(317830)

10,150원
(+22.88%)
삼성,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디와이
(013570)

9,800원
(+17.22%)
삼성,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속 반려로봇 기업 서큘러스를 관계사로 두고 있는 점이 부각되며 급등
러셀
(217500)

4,950원
(+16.33%)
삼성,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속 자회사 러셀로보틱스의 자체 개발 무인화 로봇 기술력 부각에 급등
메디포스트
(078160)

23,900원
(+15.18%)
최대주주 변경 등으로 미국 본격 진출 전망 등에 급등
비케이탑스
(030790)

2,480원
(+13.50%)
삼성전자, 메타버스 신사업 육성 소식 속 메타버스 사업을 추진중인 점이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바른손
(018700)

4,540원
(+12.80%)
최대주주 바른손이앤에이, 300억원 규모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 제작 영화 투자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티앤엘
(340570)

45,750원
(+12.27%)
1,092.8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69%)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남양유업
(003920)

444,000원
(+11.70%)
불가리스등 발효유 출고가 평균 3.5% 인상 소식 속 급등
엘앤케이바이오
(156100)

13,400원
(+11.67%)
감사의견 적정 감사보고서 수령 및 美FDA 의료기기 품목허가 취득(추간체유합보형재)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에이비프로바이오
(195990)

900원
(+11.66%)
모더나, 美 FDA에 모든 성인 4차 백신 승인 신청 등에 코로나19(모더나) 테마 상승 속 급등
안랩
(053800)

101,700원
(+11.51%)
안철수 위원장, 국무총리 유력 후보설 등에 정치/인맥(안철수) 테마 상승 속 급등
에브리봇
(270660)

48,300원
(+11.29%)
삼성,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제테마
(216080)

20,250원
(+11.26%)
제테마더톡신 '中임상 1상' 연내 착수 목표 소식 속 급등
프럼파스트
(035200)

6,870원
(+11.17%)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세종시 대통령 제2집무실 추진 동의 소식 세종시 내 생산설비 보유 부각에 급등
툴젠
(199800)

84,000원
(+10.96%)
라트바이오와인공혈액 공동 개발 추진 모멘텀 지속에 급등
트윔
(290090)

24,000원
(+10.85%)
삼성, 로봇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주말의 이슈&테마 스케줄

3월 19일 토요일
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중남미 출장 예정
2. 레드로버 보호예수 해제


3월 20일 일요일


3월 21일 월요일
1. 中) 3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예정
2. 일본 증시 휴장
3.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시행 예정
4. 해외입국 접종완료자 자가격리 면제 예정
5. 한국전력, 연료비 조정단가 발표
6. AI 컨퍼런스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개최 예정(현지시간)
7. 국고채 10년물 입찰 예정
8. 엔지켐생명과학 추가상장(유상증자)
9. 씨티씨바이오 추가상장(BW행사)
10. 두산중공업 추가상장(BW행사)
11. 제이콘텐트리 추가상장(CB전환)
12. 엔케이맥스 추가상장(CB전환)
13. 상지카일룸 추가상장(CB전환)
14. 바이오에프디엔씨 보호예수 해제
15. 美) 2월 시카고 연방 국가활동지수(현지시간)
16. 美) 나이키 실적발표(현지시간)
17. 독일)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18. EPL) 토트넘 VS 웨스트햄

반응형

'경제 >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322 특징테마  (0) 2022.03.22
220321 특징테마  (0) 2022.03.21
220317 특징테마  (0) 2022.03.17
220316 특징테마  (0) 2022.03.16
220315 특징테마  (0) 2022.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