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현지시간) 뉴욕증시가 Fed 공격적 긴축 속 경기 둔화 우려, 인플레이션 우려 심화 등에 급락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일제히 하락. 애플(-3.32%)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3.69%) 등 컴퓨터, 아마존(-5.12%), 알파벳A(-2.80%), 메타(-3.71%) 등 인터넷, 넷플릭스(-4.35%) 등 미디어 등 주요 기술주 관련 테마들이 동반 하락. 특히, 리비안(-20.88%)이 포드가 보유 중인 리비안 주식 800만주 가량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폭락했고 테슬라(-9.07%)도 급락하는 등 전기차 테마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엔비디아(-9.24%)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550만달러의 벌금을 내기로 합의한 가운데 급락하는 등 반도체 테마도 약세.
아울러 국제유가 폭락 속 엑슨 모빌(-7.89%), 셰브론(-6.70%) 등 정유, 다우케미칼(-1.91%) 등 석유화학 테마가 하락했고,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 급락 속 코인베이스(-19.50%)가 폭락하는 등 암호화폐 테마도 큰 폭 하락.이 외 쿠팡(-22.34%) 등 전자상거래, 블록(-12.82%) 등 전자결제, 로블록스(-11.51%) 등 게임, 씨티그룹(-3.35%) 등 은행, 비자(-4.84%) 등카드, 델타 항공(-6.71%) 등 항공, 에어비앤비(-12.12%) 등 여행, 라스베가스 샌즈(-7.09%) 등 카지노, GM(-3.34%) 등 자동차, 니콜라(-13.33%) 등 수소차, 퓨얼셀 에너지(-10.71%) 등 연료전지, 솔라엣지(-10.50%) 등 신재생에너지, 보잉(-10.47%) 등 산업재, US스틸(-4.85%) 등 철강 등의 테마가 하락. 금 가격 하락 속 뉴몬트 마이닝(-5.42%) 등 금(金) 테마도 하락.
5월 10일 화요일
1. 尹당선인 대통령 취임식 예정
2. 다주택 양도세 중과배제 예정
3.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상원 증언(현지시간)
4.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 회담 예정
5.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7.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8.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9. 올라프 슐츠독일 총리·알렉산더르 더크로 벨기에 총리 회담 예정(현지시간)
10. 유럽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 2022(현지시간)
11. 3월 국제수지(잠정)
12.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13. 국고채 2년물 입찰 예정
14. SK텔레콤 실적발표 예정
15. 서울반도체 실적발표 예정
16. SKC 실적발표 예정
17. 제노레이 실적발표 예정
18. 씨에스윈드 실적발표 예정
19. 웅진씽크빅 실적발표 예정
20. 애경산업실적발표 예정
21. 현대에버다임 실적발표 예정
22. 현대백화점 실적발표 예정
23. GS 실적발표 예정
24. CJ씨푸드 실적발표 예정
25. NHN 실적발표 예정
26. 중앙디앤엠 변경상장(감자)
27. 현대퓨처넷 변경상장(감자)
28. 엔바이오니아 추가상장(BW행사)
29. 아스트 추가상장(BW행사)
30. 이노테라피 추가상장(주식전환)
31. 도이치모터스 추가상장(CB전환)
32. 한국비엔씨 추가상장(CB전환)
33. 에이티세미콘 추가상장(CB전환)
34. 베노홀딩스 추가상장(CB전환)
35. 디어유 보호예수 해제
36. 제넨바이오 보호예수 해제
37. 美) 4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현지시간)
38. 유로존) 루이스 데 귄도스 유럽중앙은행(ECB) 부총재 연설(현지시간)
39. 독일)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현지시간)
40. 독일) 5월 ZEW 경기기대지수(현지시간)
41. 日) 3월 가계지출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
▷EU 외교 수장, 러시아 외환 자산 압류를 통한 우크라이나 재건 사용 제안 소식에 건설기계/일부 아스콘 테마 상승. ▷서울시, 한강 활용 UAM 및 수상교통 운영 방안 발표 소식 등에 일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윤석열 대통령 취임 속 일부 정치/인맥(윤석열) 테마 상승.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우려 등에 일부 사료 테마 상승. ▷삼성전자 美 5G 장비 공급 및 국내 Private 5G 본격 개화 전망 모멘텀 지속 등에 5G/통신장비 테마 상승. ▷尹 정부 원전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이 외에 통신, 태양광에너지, 면세점, 백화점, 남북경협, 폐기물처리, PCB(FPCB 등), 아이폰, 갤럭시 부품주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기록. ▷반면,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급락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하락. ▷경기 둔화 우려 확산 속 美 기술주 급락에 반도체 관련주, 게임, 일부 IT 대표주 등 하락. ▷국제유가 폭락 속 美 에너지 업종 급락 등에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 하락. ▷이 외에 야놀자 관련주, 자원개발, 창투사, 철강 주요종목, 비료, 영화, 종합상사, 콜드체인(저온 유통), 마켓컬리 관련주 등의 테마가하락률 상위를 기록. |
|
건설기계/일부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 EU 외교 수장, 러시아 외환 자산 압류를 통한 우크라이나 재건 사용 제안 소식에 상승 |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외교 수장이 해외에서 동결된 러시아 외환 자산을 압류해 우크라이나 재건에 쓸 것을 제안했다고 전해짐. EU 외교 정책을 총괄하는호세프 보렐 외교·안보 정책 고위 대표는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중앙은행의 자산 수십억 달러를 통제했던 전례를 들면서 러시아를 상대로도동일한 조치가 가능하다고 주장했음. ▷지난 3월 기준으로 러시아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과 금 등은 모두 6,000억 달러(약 764조원) 상당이며, 이중 3,000억 달러(약 382조원)가량이 서방 제재 때문에 동결된 것으로 전해짐.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전후 복구를 위해 6,000억 달러(764조원)가 들어갈 것으로 추산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에버다임, 수산중공업, 대창단조, 흥국 등 건설기계 테마 및 홈센타홀딩스, 스페코, 보광산업 등 일부 아스콘 테마가 상승. 다스코는 도로 안전 시설물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점 등이 시장에서 부각. 아울러 도화엔지니어링은 과거 우크라이나에서 사업을 진행한 바 있으며, 현대코퍼레이션,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는국가철도공단이 과거 우크라이나 고속철사업 MOU 체결 사실 속 사업 공동 참여 기대감이 시장에서 부각. |
|
UAM(도심항공모빌리티) | 서울시, 한강 활용 UAM 및 수상교통 운영 방안 발표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서울시가 한강변과 도시공간의 경계를 허물어 한강을 업무ㆍ상업ㆍ관광의 중심으로 변화시키겠다는 구상을 발표하고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강변 공간구상’ 용역에 대한 입찰공고를 실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주요 내용은 한강변 주요 거점 간 연계방안 및 통합 구상안 마련, 한강 일대 교통인프라 및 녹지생태도심 확충방안 구상, 한강변 간선도로 개선과 연계한 신규 공간 확보 및 활용방안 마련 등이며, 한강을 활용한 도심항공교통과 수상교통 운영 방안과 함께 시민 여가·문화 공간 활성화를 위한 생태거점 조성 등 녹지생태도심 연계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윤석열 새 정부가 출범한 가운데, UAM(도심항공교통) 상용화 추진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에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한국카본, 기산텔레콤 등 일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가 상승. |
|
정치/인맥(윤석열) | 윤석열 대통령 취임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 국회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자유, 인권, 공정, 연대의 가치를 기반으로 국민이 진정한 주인인 나라, 국제사회에서 책임을 다하고 존경받는 나라를 위대한 국민 여러분과 함께 반드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힘. 취임식 이후 윤석열 대통령은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업무를 시작했으며,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에 서명. 이어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등 7명을 공식 임명했음. ▷이와 관련, 웅진, 희림 등 일부 정치/인맥(윤석열) 관련주가 상승. 한편, 웅진은 한화솔루션이 자회사 웅진에너지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재부각. |
|
사료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우려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전일(현지시간) 모스크바 붉은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해 우크라이나전쟁의 정당성을 재차 언급했음. 푸틴 대통령은 “서방 세계가 러시아의 입장을 들으려 하지 않았다”면서 “러시아가 이들의 침략을 선제적으로 거부한 것은 강하고 주권적인 독립 국가의 결정으로 우크라이나 내부의 네오나치(Neo-Nazi) 세력을 제거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사장 드미트리 로고진은 "핵 전쟁이 발발할 경우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국가들은 30분 만에 파괴될 것"이라고언급하는 등 서방 국가들을 상대로 연일 핵 위협을 하고 있음. ▷이에 곡물 가격의 급등세가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지속되며 한일사료, 현대사료, 미래생명자원, 팜스토리 등 일부 사료 테마가 상승. |
|
2차전지/전기차 |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급락 등에 하락 |
▷지난밤 美 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속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급락한 가운데, 테슬라(-9.07%), 리비안(-20.88%), 루시드(-9.92%) 등 美 전기차 업체의 주가가 약세를 기록. 특히, 테슬라는 지난 3월중순 이후 처음으로 800달러 선이 붕괴됐으며, 리비안은 포드·JP모건 블록딜 소식에 폭락했음. ▷테슬라는 전기차 부품을 공급하는상하이 소재의 앱티브(Aptiv) 공장에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조업이 중단됐고, 또 다른 협력사인 콴타 공장에서도 최근 노동자 소요가일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코스모신소재, 엠케이전자, 테이팩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상아프론테크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
|
반도체/IT 대표주/게임 등 | 경기 둔화 우려 확산 속 美 기술주 급락에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속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락한 가운데, 美 주요 기술주들이 약세를 기록.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29% 폭락했으며, S&P500지수는 4,000선이 붕괴되며 지난해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이에 애플(-3.32%), 마이크로소프트(-3.69%), 아마존(-5.21%), 알파벳A(-2.80%), 메타(-3.71%) 등 대표적 기술주들이 대부분 약세를 기록.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2.96(-5.13%) 하락한 2,829.10을 기록. AMD(-9.42%), 엔비디아(-9.24%), ASML(-6.96%), TSMC(-4.73%), 퀄컴(-4.03%), 인텔(-2.78%) 등이하락. ▷이 같은 소식 속 미래산업, 고영, 에스티아이, AP시스템, 삼성전자 등 반도체 관련주, LG전자, 액션스퀘어, NHN, 액토즈소프트, 크래프톤 등 IT대표주/게임 등의 테마가 하락. |
|
정유/LPG(액화석유가스) | 국제유가 폭락 속 美 에너지 업종 급락 등에 하락 |
▷지난밤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업체인 아람코의 아시아 및 유럽 인도분 원유공식판매가 인하 소식 및 中 지표 악화 속 원유 수요 둔화 우려 등에 폭락 마감.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6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6.68달러(-6.08%) 하락한 103.09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음. ▷이에 美 증시에서 엑슨 모빌(-7.89%), 셰브론(-6.70%), 마라톤오일(-14.03%), 체사피크 에너지(-9.07%) 등 에너지 관련주들도 급락 마감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흥구석유, SK가스, 중앙에너비스, S-Oil, GS 등 정유/LPG 테마가 하락. |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세림B&G (340440) 3,170원 (↑29.92%) |
1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우려 속 나프타 가격 상승 수혜 기대감 등에 상한가 |
도화엔지니어링 (002150) 11,650원 (↑29.73%) |
1 | 유럽연합(EU) 외교 수장, 러시아 외환 자산 압류를 통한 우크라이나 재건 사용 제안 소식 속 과거 우크라이나에서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는 사실이 부각되며 상한가 |
에스폴리텍 (050760) 4,610원 (+18.97%) |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우려 속 나프타 가격 상승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
다스코 (058730) 6,570원 (+18.17%) |
유럽연합(EU) 외교 수장, 러시아 외환 자산 압류를 통한 우크라이나 재건 사용 제안 소식 속 도로 안전 시설물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 |
한일사료 (005860) 9,260원 (+18.11%)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우려 등에 일부 사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
웅진 (016880) 2,170원 (+17.93%) |
일부 정치/인맥(윤석열) 테마 상승 속 한화솔루션, 자회사 웅진에너지 인수 검토 소식 영향 지속에 급등 | |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227840) 13,700원 (+12.76%) |
유럽연합(EU) 외교 수장, 러시아 외환 자산 압류를 통한 우크라이나 재건 사용 제안 소식 속 국가철도공단, 과거 우크라이나 고속철사업 MOU 체결에 따른 사업 공동 참여 기대감이 부각되며 급등 | |
나노씨엠에스 (247660) 31,000원 (+12.52%) |
1분기실적 호조에 급등 | |
세우글로벌 (013000) 2,385원 (+10.93%) |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우려 속 나프타 가격 상승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
서전기전 (189860) 12,400원 (+10.22%) |
尹 정부 원전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 |
현대사료 (016790) 129,600원 (+8.45%)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 우려 등에 일부 사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 KG스틸(016380) - 22년1분기 연결기준매출액 9,828억원(전년동기대비 +51.71%), 영업이익 959억원(전년동기대비 +97.73%), 순이익 682억원(전년동기대비 +144.44%).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9,497억원(전년동기대비 +56.50%), 영업이익 944억원(전년동기대비 +115.03%), 순이익 672억원(전년동기대비 +159.45%)
* NHN벅스(10420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76.62억원(전년동기대비 +15.51%), 영업이익 11.45억원(전년동기대비 +50.06%), 순이익 15.1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NHN(18171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863.91억원(전년동기대비 +6.91%),영업이익 78.60억원(전년동기대비 -26.86%), 순이익 473.17억원(전년동기대비 -1.75%).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204.89억원(전년동기대비 +15.15%), 영업이익 155.26억원(전년동기대비 -38.15%), 순손실 45.0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제노레이(12231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7.16억원(전년동기대비 +30.29%), 영업이익 34.30억원(전년동기대비 +56.12%), 순이익 30.15억원(전년동기대비 +16.27%)
* SKC(01179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2조원(전년동기대비 +50.51%), 영업이익 1,330억원(전년동기대비 +57.58%), 순이익 902억원(전년동기대비 +47.38%)
* 리드코프(01270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524.74억원(전년동기대비 +42.02%), 영업이익 130.59억원(전년동기대비 -19.42%), 순이익 122.43억원(전년동기대비 +2.11%)
* 인크로스(21605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84.94억원(전년동기대비 -11.60%), 영업이익 17.76억원(전년동기대비 -52.16%), 순이익 15.13억원(전년동기대비 -49.58%).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3.17억원(전년동기대비 -10.94%), 영업이익 17.97억원(전년동기대비 -52.68%), 순이익 15.53억원(전년동기대비 -50.71%)
* 쎌바이오텍(04996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0.99억원(전년동기대비 +13.66%), 영업이익 20.02억원(전년동기대비 +39.02%), 순이익 30.09억원(전년동기대비 +9.02%)
* SK텔레콤(01767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07조원(전년동기대비 +3.24%), 영업이익 3,569억원(전년동기대비 +16.14%), 순이익 2,520억원(전년동기대비 -45.92%).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27조원(전년동기대비 +3.98%), 영업이익 4,324억원(전년동기대비 +15.55%), 순이익 2,203억원(전년동기대비 -61.48%)
* 네오셈(253590) - NEOSEM TECHNOLOGY INC.와 27.9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52%)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검사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5-10~2022-11-30)
* 광명전기(017040) - (주)에스제이홀딩스컴퍼니와 71.5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22%) 규모 공급계약(평택 에스제이 물류센터 신축공사) 체결(계약기간:2022-05-09~2024-01-09)
* 씨앤씨인터내셔널(352480) - 2022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53.58억원(전년동기대비 +19.32%), 영업이익 23.07억원(전년동기대비 +94.02%), 순이익 27.01억원(전년동기대비 +20.68%)
* 노바텍(285490) - 보통주 200,000주(72.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2-05-11~2022-08-10)
* 영진약품(00352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523.32억원(전년동기대비 +19.90%), 영업손실 7.9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4.5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정상제이엘에스(04042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78.09억원(전년동기대비 +14.32%), 영업이익 48.91억원(전년동기대비 +16.28%), 순이익 36.59억원(전년동기대비 +16.23%)
* 미코(059090) - 4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05-10~2022-11-09, KB증권)
* SPC삼립(00561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248.02억원(전년동기대비 +11.07%), 영업이익 135.89억원(전년동기대비 +30.13%), 순이익 78.20억원(전년동기대비 +25.30%)
* 코미코(183300) - 20억원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05-10~2022-11-10, 삼성증권)
*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88.60억원(전년동기대비 +72.98%), 영업이익 77.16억원(전년동기대비 +108.82%), 순이익 63.54억원(전년동기대비 +90.92%)
*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 1,100.4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6%) 규모 공급계약(코로나 19 자가검사키트) 체결(계약기간:2022-05-10~2022-06-30)
* 아스타(246720)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4.1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6.31%) 규모 공급계약(고해상도 레이저 탈착이온화/말디토프 이미징 질량분석기) 체결(계약기간:2022-05-09~2022-07-08)
* AP시스템(26552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01.91억원(전년동기대비 -28.85%), 영업이익 115.04억원(전년동기대비 -5.65%), 순이익 129.39억원(전년동기대비 -7.51%)
* 쌍용C&E(00341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762.39억원(전년동기대비 +11.77%), 영업이익 4.46억원(전년동기대비 -98.63%), 순손실 154.7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현대백화점(06996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343.86억원(전년동기대비 +36.76%), 영업이익 888.72억원(전년동기대비 +36.73%), 순이익 754.26억원(전년동기대비 +35.05%)
* 줌인터넷(239340) - 22년1분기 연결기준매출액 73.83억원(전년동기대비 +8.19%), 영업이익 13.11억원(전년동기대비 +121.45%), 순이익 8.93억원(전년동기대비 -16.15%)
* JW중외제약(001060) - 22년1분기 별도기준매출액 1,542.60억원(전년동기대비 +9.74%), 영업이익 141.28억원(전년동기대비 +44.48%), 순이익 112.14억원(전년동기대비 +133.47%)
* 웨이버스(336060)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42.8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3%) 규모 공급계약(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 및 융복합 활용체계 구축(3차)) 체결(계약기간:2022-05-09~2022-12-20)
* JW생명과학(23408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29.01억원(전년동기대비 +4.59%), 영업이익 64.96억원(전년동기대비 -17.62%), 순이익 46.85억원(전년동기대비 -20.29%)
* 애경산업(01825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398.68억원(전년동기대비 +3.36%), 영업이익 78.38억원(전년동기대비 +2.01%), 순이익 62.73억원(전년동기대비 -22.36%)
* GS(078930) -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98조원(전년동기대비 +63.07%), 영업이익 1.24조원(전년동기대비 +75.92%), 순이익 7,482.42억원(전년동기대비 +27.98%)
* JW홀딩스(09676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52.19억원(전년동기대비 -0.30%), 영업이익 76.60억원(전년동기대비 -14.98%), 순이익 54.19억원(전년동기대비 -25.92%)
* JW신약(067290) -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27.82억원(전년동기대비 +12.05%), 영업이익 23.53억원(전년동기대비 +355.12%), 순이익 21.37억원(전년동기대비 +1,305.92%)
* CBI(013720) - 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100% 자회사를 통해 미국현지에서 핵산치료제 등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을 추진중인 바이오 회사에 투자 목적으로 CBI USA, INC.(미국) 주식 500주를 63.7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0%, 취득예정일:2022-05-10). 종속회사 CBI USA, INC., 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미국 현지에서 핵산 치료제 신약개발 등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을 추진중인 바이호 회사에 투자 목적으로 EXICURE 주식 24,548,985주를 60.58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6.49%, 취득예정일:2022-05-20)
* 디아이(003160) - 22년1분기 연결기준매출액 552.48억원(전년동기대비 +6.56%), 영업이익 50.58억원(전년동기대비 +27.88%), 순이익 49.82억원(전년동기대비 +10.21%)
* 앱클론(174900) - 국책과제선정(혁신 CD19 표적 CAR-T 치료제 임상 1상 연구)
* 서울반도체(046890) - 2022년 사업연도(2022-04-01~2022-06-30) 연결기준매출액 3,200억원 전망
* 덕산테코피아(317330) - 종속회사 (주)덕산일렉테라, 372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15.22%) 유형자산(건물, 기계장치, 부대시설 등) 취득 결정(취득예정일:2022-12-31)
* 탑엔지니어링(065130) - (주)탑인터큐브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2-07-15)
5월 11일 수요일
1. 美) 4월 소비자물가지수(현지시간)
2.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연설(현지시간)
3. 유엔안보리, 긴급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4.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 및 픽셀워치 공개(현지시간)
5. EES 유럽2022 개최 예정(현지시간)
6. 인터솔라 유럽(Intersolar Europe) 전시회(현지시간)
7. 프랑스 수소산업전(현지시간)
8.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후보자 인사청문회
9. 바이오코리아 개최
10. 쌍용차, 조건부 인수제안서 수령 예정일
11. 조이시티, 크립토볼 Z 온 위믹스 글로벌 출시 예정
12. SK C&C, 체인제트+NFT 플랫폼 공개 예정
13. 4월 금융시장 동향
14. 4월 고용동향
15. 신세계 실적발표 예정
16. 한온시스템 실적발표 예정
17. 강원랜드 실적발표 예정
18. 스튜디오드래곤 실적발표 예정
19. 신세계인터내셔날 실적발표 예정
20. 팬오션 실적발표 예정
21. 한국가스공사 실적발표 예정
22. 동양생명 실적발표 예정
23. 휴젤 실적발표 예정
24. 더블유게임즈 실적발표 예정
25. LG생활건강 실적발표 예정
26.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실적발표 예정
27. GKL 실적발표 예정
28. CJ프레시웨이 실적발표 예정
29. CJ ENM 실적발표 예정
30. 위메이드 실적발표 예정
31. 위메이드맥스 실적발표 예정
32. 가온칩스 공모청약
33. 라온테크 추가상장(무상증자)
34. 다원시스 추가상장(유상증자)
35. 올리패스 추가상장(주식전환)
36. 램테크놀러지 추가상장(BW행사)
37. TS트릴리온 추가상장(CB전환)
38. 아난티 추가상장(CB전환)
39. 조일알미늄 추가상장(CB전환)
40. 상상인증권 추가상장(CB전환)
41. 아이티아이즈 보호예수 해제
42. 메이슨캐피탈 보호예수 해제
43. 쎄트렉아이 보호예수 해제
44.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45.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46. 美) 디즈니 실적발표(현지시간)
47. 독일)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확정치(현지시간)
48. 독일)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현지시간)
49. 中) 4월 생산자물가지수
50. 中) 4월 소비자물가지수
51. 日) 3월 경기동향지수(예비치)
52. 日) 4월 외환보유액
'경제 > 특징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12 특징테마 (0) | 2022.05.12 |
---|---|
220511 특징테마 (0) | 2022.05.11 |
220509 특징테마 (0) | 2022.05.09 |
220506 특징테마 (0) | 2022.05.06 |
220504 특징테마 (0) | 2022.05.04 |